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수학 최고수를 가리는 제25회 KMO 중등부 1차 시험이 성균관대와 울산대를 비롯해 전국 18
곳
의 주요 시험장에서 펼쳐졌다. 정부의 사교육 대책으로 올림피아드의 입시 효과가 사라지면서 응시자 수는 총 7000여 명으로 2010년의 9247명보다 20% 가량 줄어들었다. 하지만 시험장의 열기는 뜨거웠다.올해 1차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안성맞춤이죠. 행글라이더는 엔진이 없어서 땅에서부터 출발할 수 없어요. 높은
곳
에서 출발해 활공 비행을 해야 하죠. 행글라이더라고 해서 무조건 하강비행만 하는 것은 아니에요. 낙하산이 아니니까요. 비행 중 *상승기류를 만나면 이 기류와 바람을 이용해 방향을 바꾸기도 합니다. 비행경로는 ... ...
에베레스트 산 등정에 나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도형을 끌어안고 훌쩍인다.“대장님, 저기 무언가가 꽂혀 있어요.”도형이 가리킨
곳
을 바라본 스미드는 눈물을 흘린다.“어빙의 피켈(T자형 등산 지팡이)이야. 앤드루 어빙의 A가 쓰여 있어. 바로 아래에 있었어. 허풍 씨 처럼 한 걸음만 더 내딛었더라면 ….”잠시 후 스미드가 말문을 연다.“이런 ... ...
떠돌이행성 처음으로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공전 궤도가 없는 행성이라고 판단했다. 2년간 관측한 결과 평균 1만~2만 광년 떨어진
곳
에서 목성 크기만 한 10개의 떠돌이행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런 떠돌이행성은 우리은하 전체로 보면 수천억 개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내용은 공동연구팀 소속 일본 오사카대 타카히로 수미 교수가 ... ...
건국이래 최대 과학투자 ‘과학벨트 거점지역’ 대전 확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대전 지역 어떤
곳
?과학벨트의 거점지구로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들어설
곳
은 대전 유성구 신동지구(169만9000m²)와 둔곡지구(200만 m²)다. 호남고속도로 지선의 북대전 나들목에서도, 행정도시건설청이 있는 충남 연기군 금남면 대평리에서도 차량으로 10분 이내 거리다. 신동지구는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위치정보를 계산해 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지국 외에는 어떠한 신호도 받을 수 없는
곳
에 있다면 오차범위 300~500m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정보를 조합해 위치정보를 계산해 내는 방식을 A-GPS 방식이라고 한다.애플은 왜 위치정보를 수집했을까이제 애플이 어떻게 위치정보를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LBNL)에서 마침내 양성자의 반물질인 반양성자가 발견됐고 이듬해 같은
곳
에서 반중성자(antineutron)가 발견됐다. 1965년에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과학자들과 미국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BNL)의 과학자들은 각각 중양성자(중수소의 원자핵으로 양성자 하나와 중성자 하나로 이뤄짐)의 반물질인 ...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나눔 “대학생 봉사단 6기 모집”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과학나눔’ 현장이다. 대학생 과학나눔은 대학생 봉사단이 과학을 체험할 기회가 부족한
곳
에 사는 초등학생, 중학생에게 직접 찾아가 함께 실험하며 과학을 가르치는 교육기부 프로그램이다. 대학생 봉사단은 각 대학의 사회봉사담당센터에서 추천한 사람으로 구성된다. 봉사활동에 필요한 ... ...
바다 속 가장 깊은
곳
으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영국의 모험가 리처드 브랜슨은 곧 세계에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에 도착할 것이다. 브랜슨은 비행기 모양의 잠수정을 운전해 2년이 넘는 기간 동안 5대양의 가장 깊은
곳
을 찾아다닐 예정이다.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미 물에 잠겨 있어서 볼 수 없지만 발전기의 규모를 간접적으로나마 느껴볼 수 있는
곳
이었다. 생각보다 거대한 지하 공간이 펼쳐져 있었다. 바로 아래에 10대의 발전기가 물살을 가르며 돈다고 생각하니 진동이 느껴지는 듯한 착각이 들었다(기자가 방문했을 때는 아직 발전 설비를 가동하고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