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LG사이언스홀 관람객 500만 명 돌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서울과 부산 두 곳에 운영하고 있는 민간과학관 LG사이언스홀의 관람객 수가 4월 14일 500만 명을 돌파했다. 1987년 개관 이후 24년만이다. LG사이언스홀은 관람객 500만 명 돌파를 기념해 500만 번째 관람객인 김동선 군(부산 덕포초 5학년)에게 LG노트북을 증정하고 해당 학교에는 47인치 3DTV를 전달했다. ... ...
- 갑각류가 좋을까, 포유류가 좋을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포유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포유류 형태의 유압식 로봇을 개발하고 있는곳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있습니다. 두발로봇은 아닙니다. 네발 짐꾼 로봇인 진풍, 입는 로봇 하이퍼 등이 유명한데, 모두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쓰고 있고, 몸 안쪽에 뼈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좌)휴보2의 골격. ... ...
- “도전하는 학생들의 IT 창작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때문에 서울 학생들이 많이 들어온다. 경기권 학생도 소수 있으나 대체로 입학 후 가까운 곳으로 이사를 온다. 전체 학생중 1/3 가량이 여학생이다.특별전형 지원자격인 특별교육과정을 이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먼저 서울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정보영재교육원을 운영하고 있다. 40명을 모집해 ... ...
-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믿는다. 백두산은 남북한을 통틀어 가장 높은 봉우리이기에 유명할 수밖에 없는 곳이다. 고도 2744m의 백두산은 북한과 중국의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산의 3분의 2가 북한 국경 내에 속해 있다. 그럼에도 한국인들에게 백두산은 영원히 일등 산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본고는 IBM에서 공개한 ... ...
- 유물로 떠나는 실크로드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카자흐스탄과 몽골을 잇는 북쪽의 넓은 초원지대 길을 천산북도라고 불렀지요. 이 곳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당시 사막과 초원의 험난한 여정, 그리고 그 속에서 꽃피웠던 문화와 예술을 엿볼 수 있어요. 낙타몰이꾼 무늬 벽돌낙타를 끌고 사막을 건너는 낙타 몰이꾼의 모습이 조각돼 있다. 파란 ... ...
- PART 1-2 골고루 세력을 확장하라, 인지니어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없을 때까지 진행합니다. 점수는 타일을 놓았을 때‘육각형 타일에서 직선으로 연결된 곳에 같은 색이 몇 개인가’로 계산합니다. 각각의 색깔마다 점수를 매번 계산해더하는데, 게임이 끝났을 때 이 중 가장 낮은 점수를 얻은 색깔의 점수가 자기 점수죠. 이 규칙은 한 가지 색깔만 높은 점수를 ...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왕관을 숨긴 뒤, 플린 라이더에게 으름장을 놓았어요.“내일 수천 개의 등이 뜨는 그 곳으로 날 데려가 줘! 그러면 네 물건을 돌려 줄게”정신을 차린 플린 라이더는 왕관도 잊은 채 라푼젤의 황금빛 긴 생머리를 보고 첫눈에 반해 버렸어요. 긴 생머리가 정말 사람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걸까요? ... ...
- 0을'러브'라 부르는 테니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넘기기 마련이다(❷). 공의 방향을 예측해 A 자리로 온 선수(❸)는 상대방이 받기 힘든 곳으로 공을 보낼 수 있다(❹).효과적인 서브 방법서브는 강한 ‘직선 서브’(❶) 외에도 상대방의 오른쪽으로 휘어나가는 ‘슬라이스 서브’(❷)와 공이 갑자기 떨어진 뒤 높이 튀어 오르는‘스핀 서브’(❸)가 ...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닭의 축산기준면적은 A4용지 한 장 크기보다도 작은 0.042m2이다. 하지만 실제 이보다 좁은 곳에 살고 있다. 날개를 움직이지도 못해 몸을 긁거나 단장하지도 못한다. 좁은 공간에 수천, 수만 마리가 같이 살다보니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양계장은 늘 뿌연 먼지와 가스로 가득 차 있다. 돼지들도 축사 안의 ...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세계 각국 연구자들이 동해와 독도에 관심을 갖는 이유이다.독도 과학기지가 세워지는 곳은 독도 서도에서 북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암석 위다. 심 책임연구원은 “만일 독도가 없었다면 동해에 과학기지를 세우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동해는 수심이 매우 깊어서 조금만 ... ...
이전4884894904914924934944954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