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식물 창조하는 2010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인터넷상에 가상식물(virtual plant)을 창조하겠다는 프로젝트이다.2010프로젝트에서는
전체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기 위해, 2만5천개 유전자 모두에 대한 돌연변이체를 만들 예정이다.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표현형이 나타나지 않지만, 특수한 환경에서만 나타나는 돌연변이체가 있다. 예를 들어 ... ...
③ '유전자가 변형된 콩' 내년부터 표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승인했다.내년 3월과 7월에 나눠 시행미국 정부관리들은 스타링크가 미국
전체
옥수수밭의 1% 미만에서만 재배되고 있지만 농민들과 곡물창고업자들이 유통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다른 옥수수와 섞어버렸기 때문에 이 같은 일이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유전자변형농산물은 육안으로는 확인할 길이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를 크게 할 수 있는 기술이 핵심이다. 보통 다리의 규모는 시작과 끝 지지구조까지의
전체
길이를 말하지만, 공학적 측면에서는 경간이 훨씬 중요한 개념으로 다리를 건설한 기술수준을 상징한다.경간을 길게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다리로는 현수교와 사장교가 있다. 현수교는 높은 주탑을 쌓아 ... ...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우리로부터 멀어진다고 해서 우리가 우주의 어떤 특별한 곳에 있는 것은 아니다. 우주는
전체
적으로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우주 어느 곳에서든 다른 모든 은하가 멀어져가며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더 빨리 움직이는 경험을 할 수 있다.허블은 우주론의 새로운 마당을 열었다. 불과 1백년 전만 해도 ... ...
초고속망 시대에 걸맞는 컴퓨터 보안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그 결과 한 사무실 내부에서 데이터를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유시킨 컴퓨터가 빌딩
전체
에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볼 수 있게끔 공유돼 버렸다. 또 아파트에서도 한 가정의 컴퓨터 공유가 아파트 단지의 모든 사람들에게 공유되는 일이 벌어졌다.이것은 자신의 시스템을 자신들만이 사용한다는 ... ...
알레르기 한겨울에도 기승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우리나라는 10%로 미국에 비해 2배 이상의 천식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약 14%가 알레르기 비염으로 고생하고 있다. 그럼 이렇게 알레르기가 전세계적으로 더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특히 산업화와 공업화로 알레르기 질환을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정도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즉 애기장대의 게놈이 외떡잎식물의 게놈
전체
를 포괄하지는 못하고 있고, 외떡잎식물에서 더 많은 새로운 유전자원이 발견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에 입각해 시작된 것이 바로 ‘벼 게놈프로젝트’이다.벼는 현재 알려진 외떡잎식물 중 게놈 크기가 가장 ... ...
정보통신보호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아니더라도 전화선을 이용하면 누구라도 인터넷에 연결이 가능하다.우리나라는 현재
전체
인구의 50%가량이 인터넷을 사용해 시설이 사람들의 욕구를 맞춰주지 못할 정도로 폭발적이다.시골의 노인들도 인터넷이란 단어를 알고 있을 정도로 인터넷은 생활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텔레비전 광고처럼 ... ...
안드로메다 은하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초겨울 저녁 남서쪽하늘에서는 아직 가을철별자리를 찾아볼 수 있다. 밤하늘의 거대한 창문, 페가수스 사각형의 왼쪽 위에 있는 별 알페라츠에 ... 약 2백20만광년 거리에 있으며 우리은하와 형제로서 같은 국부은하군에 속해 있다.
전체
밝기가 3.5등급이므로 맨눈으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 ...
백혈병, 그 완치를 위한 길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없앤다고 해도 체내에는 여전히 현미경으로 식별 불가능한 백혈병세포가 남아있어
전체
환자의 70-80%는 다시 재발하기 때문이다.그런데 골수이식은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과거에는 정상적인 조혈모세포를 채취할 수 있는 공급원으로 골수만을 생각했기 때문에 골수이식이라는 용어가 사용됐으나,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