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26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와 닭이 친구가 된 사연
팝뉴스
l
2018.08.06
싸우고 있다. 많은 시민들 그리고 동물들도 타오르는 불길 때문에 큰 고통을 겪는다.
위
사진은 ‘그래스 벨리 소방서’가 3일 공개한 것이다. 불을 끄고 사람들을 구조하던 소방관들은 한 집의 현관문 앞에서 전혀 어울리지 않는 한 쌍의 동물을 발견했다. 바로 고양이와 닭이었다. 닭과 ... ...
세계 곳곳의 이색 공항 BEST4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06
다른 한쪽은 2.8km의 낭떠러지로 이어져 있어서 아찔함을 자아낸다. 세계에서 가장
위
험한 공항 - Reinhard Kraash(w) 제공 *어린이 과학동아 15호(8월 1일 발행) '[기획]공항의 변신' ... ...
심해 산호초, 너마저!
동아사이언스
l
2018.08.06
채 발견됐다. 매년 전 세계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약 5000만 t. 현재 바다
위
를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만 3500만 t에 이른다. 핌 본가르츠 호주 퀸즐랜드대 기후변화연구소 연구원은 “그동안 심해에서는 볼 수 없었던 플라스틱 쓰레기가 이번에 다량 발견됐다"며 "이전까지 해양 ... ...
스웨덴 사람들, 홍수를 즐기는 법
팝뉴스
l
2018.08.05
웁살라 중앙역의 홍수 사태가 해외 언론들의 주목을 받았다. 많은 시민들은 물이 무릎
위
까지 차오르자 핸드백을 높이 들고 힘들게 빠져나갔다. 그들은 스트레스가 아주 심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상황을 즐기는 시민들도 적지 않았다. 이왕 홍수가 났고 옷도 젖었으니 즐기자는 것이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
2018.08.05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
해 를 썼다.현재는 UNC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짬짜면 과학 교실] 기체들과 함께 하는 운동회
2018.08.04
안으로 자기들을 몰아넣으니 기체 입자의 밀도가 높아져 견디기 힘들어 하는 거예요.
위
의 동시 끝부분처럼 아이들의 마음도 마찬가지예요. 아이들도 지나치게 많은 숙제에 시달리면 빵빵해진 자전거 타이어 튜브처럼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요. 튜브의 재질과 부피를 고려해 공기를 넣듯이, 숙제도 ... ...
어리다고 얕보지 마라...키즈 크리에이터 마이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03
촬영을 하는 것도 재미있다. 마이린은 크리에이터 친구와 함께 촬영을 할 때도 많다.
위
화면은 유튜브 채널 ‘어썸하은’의 나하은 양과 함께 미끄럼틀 100번 타기에 도전한 영상이다. - 마이린 TV 제공 Q 영상을 만들면서 가장 힘들었던 때는 언제인가? 콜라에 멘토스를 넣어 콜라가 부풀어 오르게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자외선 차단제 잘 고르는 과학적인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8.08.03
자외선차단제라도 점도가 다르면 차단 효과가 달라진다. 점성(탄성)이 높으면 피부
위
에서 화학 성분들이 구조를 회복하려는 경향이 강해서 결과적으로 균일한 차단막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찐득찐득한 자외선차단제가 차단 효과는 더 높을 수 있다는 뜻이다. *출처: 과학 읽어주는 ... ...
최고 권
위
수학상 '필즈상' 수상자, 시상식 직후 메달 도둑 맞아
2018.08.03
필즈상 및 천상, 가우스상 등 2018 세계수학자대회에서 개최된 수학상 수상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코처 비카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 열릴 예정이던 행사장이 개막식 하루 전날인 일요일 밤에 불이 나 지붕이 전소했다. 조직
위
는 부득이 급히 다른 건물을 섭외해 개막식을 열었다 ... ...
쿠르드 출신 수학자, 7세에 이진법 배운 천재...4인 4색 2018 필즈상
수학동아
l
2018.08.03
배출했다. 벤커테이시 교수는 13세에 대학을 마치고 20세에 프린스턴대에서 박사 학
위
를 받았다. 7세에 이진법을 배운 것을 ‘즐거운 추억’으로 꼽을 만큼 전형적인 수학 천재다. 정수론 전문가인 그는 전혀 다른 수학 분야 이론을 이용해 정수를 연구하며 다양한 수학 분야의 통합을 꿈꾸고 있다 ... ...
이전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