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260건 검색되었습니다.
행복한 개와 불만인 개
팝뉴스
l
2018.07.24
있는 곳은 바닥이 아니다. 식탁
위
다. 그렇다면 개는 키가 큰 것일까? 소형견인데도 식탁
위
를 습격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것은 다른 개가 희생을 했기 때문이다. 덩치가 크고 몸은 검은 개가 받침대 역할을 해주고 있었던 것이다. 작은 개는 큰 개를 밟고 올라가 배를 채우고 있다. 대단히 머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15% 인상됐고 소비량이 줄었다. 다만 반발이 심해 이 제도는 1년 만에 폐지됐다.
위
의 예들이 사람들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넛지라면 무의식에 작용하는 좋은 넛지도 있다. 즉 메뉴에 채식요리를 먼저 표기한다든지 뷔페식당에서 채식요리를 앞에 배치하는 식이다. 실제 이렇게 개입하면 사람들이 ... ...
EU가 구글을 압박하는 세 가지 이슈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7.24
EU가 지난 주 구글에 천문학적인 과징금을 부과했다. 무려 5조 7000억원 규모. 이는 1년 전 EU가 구글에 부과했던 사상 최대의 과징금 3조1000억원 기록을 다시 경신 ... 유튜브에서 검색을 한다고 한다. 현재 IT업계에서는 구글의 검색 점유율이 다음을 넘어 2
위
에 올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너무나 피곤했던 남자
팝뉴스
l
2018.07.24
한 남자가 건물 밖 냉방기 실외기
위
에서 잠을 자고 있다. 아무런 안전장치는 안 보인다.
위
험한 상황인데 남자는 대단히 편안해 보인다. 남자는 일을 하던 중 갑자기 피로감을 느꼈던 것일까. 자리를 옮길 수도 없을 정도로 극심히 피곤했던 것일까. 아무리 피곤했더라도 좀 더 안전한 곳으로 ... ...
화장실에 나타난 ‘복면강도’
팝뉴스
l
2018.07.23
한 가정집 화장실에 너구리가 한 마리 있었다. 너구리는 바짝 긴장을 한 상태로 변기
위
에 올라가 사람을 바라본다. 너구리가 화장실에 들어온 것도 신기하지만, 경찰관이 너구리를 “복면한 남자 강도”라고 불러서 주목을 받는다. 너구리는 정말 눈을 가진 사람처럼 보인다. 너구리와 마주친 ... ...
국내 연구진, 세계 최고 성능 중저온 연료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7.23
만든 PCFC 구조체는 전해질을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단
위
의 작은 입자들
위
에서 성장시켜 결과적으로 전해질의 두께를 1㎛(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수준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PCFC 구조체는 다른 물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향후 ... ...
강아지의 따뜻한 마음
팝뉴스
l
2018.07.22
있다. 이유가 분명히 있다. 사진 공개자의 설명에 따르면 강아지는 장난감들을 매트
위
에 올려놓고 정작 자기는 바닥에서 잠을 잔다. 폭신한 자리에서 자는 것이 더 편할 것이다. 그럼에도 강아지는 장난감들에게 그 안락함을 양보했다. 장난감들이 그만큼 소중한 것이다. 비록 장난감을 ... ...
물놀이 중 수인성 질환, 수영장에서 옮길 가능성 더 커
2018.07.22
다 놀고 난 후 깨끗이 씻는 것은 두말 할 필요 없겠지요. 당연한 듯 쉬워 보이는
위
의 몇 가지를 철저히 지킴으로 건강한 물놀이가 이루어져 이 더운 여름을 잘 지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
공터에 잔디만 깔았을 뿐인데...주민 우울증 확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7.22
곳으로 전락하기 쉽다. 그런데 이런 구역을 녹지로 바꾸면 주변 거주민들의 우울증 발생
위
험을 극적으로 감소시키는 등 정신 건강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지니아 사우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연구원팀은 필라델피아 내에서 110개 단지를 선정했다. 이 단지 ... ...
[짬짜면 과학 교실] 생태계 어르신의 한 말씀: 생물과 환경
2018.07.21
생태계의 악영향은 자연 상태라면 수만 년 이상의 시간에 해당될 만큼 지나쳤다고 해요.
위
의 동시가 얘기하듯, 인류는 영리하면서도 어리석은 것 같아요. 엄청나게 큰 거인이 되어 생태계를 망가뜨리는 인류도 생태계의 구성원일 따름이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되어요. 인류의 고향이자 어머니가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