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신의 입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한다. 힉스 입자는 질량이 크기 때문에 질량-에너지 등가원리에 따라 많은 에너지를
작은
공간에 집중시켜야 한다. 마치 열차의 속도가 빠르면 충돌했을 때 크게 찌그러지는 것처럼 입자의 충돌에너지가 클수록 더 무거운 입자가 생겨난다(에너지 보존법칙).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양성자를 빛의 ... ...
2. '블랙홀 공장'짓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수 있는 에너지보다 약 1016배나 많다. 따라서 중력은 LHC에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영향만 미친다.하지만 초미시세계에서 중력의 역할이 미미하다고 가정하는 초끈이론은 매우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초끈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실제로 11차원 또는 10차원이며 따라서 ... ...
3. 기네스 기록 도전하는 LHC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있는 광경은 실로 장관이다. 특히 실리콘센서로 된 하나의 픽셀은 가로세로 150μm인
작은
검출기인데, 결국 CMS는 천문학적인 수의 부분 검출기들로 구성돼있는 셈이다.픽셀은 검출하려는 입자가 중앙검출기를 지나면서 주변 원자에서 튕겨낸 전자들을 모은다. 이때 전자들의 움직임이 전류고, 이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스노우 퀸’이라고 이름을 지어줬다. 군데군데
작은
자갈들이 있었고 깊이 10cm의
작은
고랑이 약 5m 간격으로 격자무늬를 이루고 있는 점이 특이했다. 그러고 보니 이 무늬는 지구의 극지방 영구동토층에 나타나는 무늬와 매우 비슷했다. 지구에서는 온도가 떨어지면 땅속의 물이 얼어붙었다가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설정했다 육안성은 약 30개로서 가장 밝은 별도 43등에 지나지 않아 눈에 띄지 않는
작은
별자리이다 이 별자리에 관한 신화는 없으며 우리나라에서는 7원의 초저녁에 남쪽 하늘 나직이 이 별자리의 북쪽만이 겨우 보일 정도이다 탄화수소와 수증기를 촉매 존재하에 고온에서 반응시켜 수소 또는 ... ...
유방 흔들림 잡아줘 쿠퍼 인대 보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56%가 달릴 때 흔들리는 가슴에 통증을 느낀다고 보고했다.한국 여성의 가슴은 이보다
작은
편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이 지난 2003년부터 2년간 조사해 발표한 ‘한국인 표준 사이즈’에 따르면 20대 여성의 평균 가슴둘레는 82.2cm, 브래지어 사이즈는 75A다. 40대 여성은 88.5cm에 80A였다.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큰 그룹은 큰 땅 핀치와 경쟁으로 대부분 죽었지만
작은
씨앗을 먹는데 적합한 부리가
작은
그룹은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죽은 새들의 위를 부검한 결과 모두 텅 비어 있었다”며 “먹이 수급 변화나 다른 종의 존재로 인한 굶주림이 한 종의 진화 방향을 결정짓는 ... ...
우주 신비에 다가가는 초대형망원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약 23조 원)라는 엄청난 예산이 소요되자 42m로 축소했다. 제주도 크기라면 종이 두께보다
작은
오차그렇다면 미국과 유럽은 왜 이런 엄청난 돈을 들여가며 초대형망원경을 만들려고 할까.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데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지구와 똑같은 행성을 찾는 일, 우리 태양보다 ... ...
에너지 위기 해양조류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미역이나 파래같이 바다에서 사는 식물이고, 미세조류는 플랑크톤같이 바다에서 사는
작은
생물이다. 특히 미세조류는 번식속도가 빨라 3시간 반 ~ 6시간마다 개체수를 2배로 늘린다. 대량 양식이 가능하고 에너지의 원료로 다량 사용해도 옥수수나 사탕수수와 달리 인간의 식탁을 위협하지 않는다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리만 가설’이다. 리만 가설은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주어진 숫자보다
작은
소수의 갯수를 구하는 규칙을 연구하다가 생각해낸 추측이다. 즉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모든 근들은 실수부가 1/2이다’로 표현된다.'수학자인 저자는 일반인은 도저히 무슨 소리인지 알 수 없는 리만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