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프리온은 25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단백질이다.CJD 환자를 분석한 결과 가족력, 즉 유전되는 프리온은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밝혀진 돌연변이 종류는 20가지가 넘는다. 돌연변이 프리온 단백질은 구조가 불안정해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구조를 밝힌 제임스 슨의 게놈이 세계 최초로 해독됐고, 그의 DNA 염기서열 전체는
작은
컴퓨터 디스크 한 장에 담겨 주인의 손에 건네졌다. 9월에는, ‘셀레라’를 설립해 인간 게놈을 해독한 크레이그 벤터의 게놈이 두 번째로 해독됐다.이런 현상에 대해 미국의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지난해 ... ...
생활에서 아이디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몇 년 뒤 기자님 코에 ‘간접흡연 방지 필터’가 껴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에요. 발명의 시
작은
대부분 엉뚱한 생각에서 나오거든요.”회의에서 나온 아이디어는 사소해 보일지라도 ‘발명 노트’에 모두 꼼꼼히 적어둔다. 그리고 생각을 발전시켜 실제로 제품을 만들기도 한다. 실제로 이렇게 ... ...
공포의 신 '포보스' 얼굴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해상도다.포보스는 데이모스와 함께 화성의 두 위성 가운데 하나이며 지름이 10~14km인
작은
위성으로 중력이 지구의 1000분의 1밖에 되지 않아 둥근 모양을 갖추지 못했다. 과학자들은 포보스에 얼음과 탄소가 풍부하게 매장돼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사진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지형은 포보스 한쪽 ... ...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인형이 이렇게 둥둥 떠 있는 걸 보면 (이곳이 우주인 것을) 알 수 있지 않느냐”며 가져간
작은
인형들을 띄워 보였다.대통령이 이 씨의 옆에 서있는 동료 우주인들에게 “볼쇼이 스파시바(대단히 감사합니다)”라고 러시아말로 인사말을 건네자, “대통령님이 러시아어까지 할줄 정말 몰랐다”며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운영하는 천문대와 달라 맨 먼저 눈에 띈 것은 ‘위성 돔’(satellite dome)이라고 부르는
작은
돔들이었다. 남쪽으로 시야가 좋은 잔디밭에 어미 거북을 따르는 새끼 거북들처럼 옹기종기 모여 있는 돔에는 지름 20cm급 망원경들이 설치돼 있다. 천문대 탐방객은 이곳을 빌려 밤새워 자신이 원하는 천체를 ... ...
유럽, 우주화물선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뜨거운 전자라고 불렀다비교적 좁은 범위에 밀집한 선구조를 가진 스펙트럼 분리능이
작은
분광기에서는 선구조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띠모양으로 보인다보통 분자스펙트럼에 나타나 전자상태의 전이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회전이나 준위의 변동에 의한 에너지차가 가해져 띠구조를 ... ...
1. 고유가 시대 기대주 오일 샌드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것이 액화천연가스, 즉 LNG(Liquefied Natural Gas)다.한편 원유는 탄소가 서너 개로 비교적
작은
탄화수소부터 40~50개로 이뤄진 큰 분자까지 한데 섞여있는 혼합물이다. 따라서 유정에서 뽑아 올린 원유는 정유공장에서 분별증류과정을 통해 분류된다. 즉 고압에서 원유를 400℃로 가열한 후 ... ...
BT+IT+NT 삼박자 갖춘 '똑똑한 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칩과 센서가 필요하다는 말이다.스마트 바이오칩과 센서는 나노미터 수준으로
작은
생체분자까지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양의 혈액에 남아있는 질병의 ‘흔적’도 찾아낼 수 있다.바이오나노연구단은 칩 표면에 ‘특별 가공한 풀’을 이용해 나노미터 수준의 단백질을 일정한 ... ...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화재경보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화재경보기는
작은
불꽃을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화재경보기가 보급되고 있다. 최대 수㎞에 달하는 광섬유를 문화재에 고루 설치해 두면 일정한 간격으로 온도를 읽을 수 있다.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