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스마트 웹
과학동아
l
200802
시맨틱 웹 산업규모가 2018년이 되면 현재시장의 100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정
교수
도 “2년 안에 시맨틱 웹이 상용화될 것”이라고 본다.정보의 양이 늘어난 인터넷은 오히려 사용자를 정보의 바다에서 익사시키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로 똑똑한 웹 검색, 시맨틱 웹의 행보가 ... ...
즐거운 동물이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0802
바위 가운데 어느 쪽을 택할까. 미국 테네시대의 비교행동학자인 고든 부르크하르트
교수
는 후자의 경우가 이구아나의 입장에서 더 즐거울 뿐만 아니라 적응에도 이로운 행동이라고 해석했다. 이구아나 같은 변온동물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햇볕을 쪼여야 하며 따뜻한 온기를 느끼면 ... ...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02
판게아’란 뜻의 ‘울티마 판게아’라는 이름을 자신의 초대륙에 붙였지만, 스코티즈
교수
는 최근 이마저도 ‘판게아 프록시마’(다음 판게아)라는 이름으로 바꿨다. 끊임없이 돌고 도는 ‘초대륙 사이클’에 ‘최후’라는 이름이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라는 게 이유다.초대륙이 주기적으로 ... ...
욕 속에 독 있다?!
과학동아
l
200802
상대방의 기분을 해치는 욕은 금해야 한다. 실제로 미국 워싱턴대 심리학과 엘마 게이츠
교수
는 욕이 사람에게 얼마나 나쁜 영향을 끼치는지를 실험으로 증명해 그의 저서인 ‘마음의 기술’에 실었다. 그는 사람들이 말할 때 나오는 미세한 침 파편을 모아 침전물을 분석했다.그 결과 사람의 감정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02
One of the fascinating questions about prions concerns their mode of replication. If prions do not contain a nucleic acid genome, then studies on the replication of prions may reveal unprecedented me ...
불타는 나의 로봇 본능
과학동아
l
200802
탐낼 만한 디자인의 로봇이 등장할 거란 생각에서다. 그는 KAIST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
가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에 대해 “나라면 아예 곡선 위주의 디자인에서 탈피해 기계적인 느낌을 살려주는 직선으로 디자인했을 것”이라고 당당하게 말했다.올해 MR의 목표는 두 발로 걷는 축구로봇을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02
1월 중순 발매된 앤디의 솔로앨범에 ‘얼굴 빨개졌다네’가 실렸다. 이 곡은 조진원
교수
가 대학원 재학 시절 만든 곡으로 그룹 ‘휘버스’의 이명훈 씨가 불러 1982년 KBS와 MBC에서 10대 가수상과 신인상을 받았다).생생현장 따라잡기23년 만에 부른 ‘사랑하는 사람아’1970~1980년대에 대학을 다닌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홍채의 색깔과 주름, 무늬가 사람마다 다르단다. 1994년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존 더그맨
교수
는 이런 홍채의 특징을 이용해 사람을 구별해 내는 방법을 개발했지. 홍채는 태어난 지 12개월이 지나면 죽을 때까지 모양이 변하지 않고, 일란성 쌍둥이라도 각각 다른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 ...
고래 조상은 너구리만 한 포유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뼈의 구조와 이빨 성분은 하마처럼 물 속을 천천히 거닐며 사는 데 적당했어요. 테비센
교수
에 따르면, 원래 초식동물이었던 인도휴스가 얕은 물가에서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면서 점차 물 속 생활에 맞는 구조로 진화했을 거래요. 그러니 고래의 조상이 오늘날 고래를 본다면 후손을 못 알아볼지도 ... ...
태양빛으로 전기 만드는 물질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태양빛을 쬐어 전기를 만드는 물질이 개발되었습니다. 고려대학교 신소재화학과 고재중
교수
팀은 빛을 쬐면 전자를 잘 내놓는 55가지의 화합물을 만들었어요. 이 물질들이 햇빛을 받아 전자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상태가 되었을 때 이를 모아 흘려 주면 전기를 얻게 되는 거지요. 이번에 개발된 ... ...
이전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