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줄기세포 복제돼지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경상대학교 노규진
교수
님을 비롯해, 강원대학교 이은송
교수
님, 충북대학교 현상환
교수
님, 축산과학원 성환후 박사님, 경기도 축산위생연구소분들께 감사를 전하고 싶네요.그럼 이제, 어떤 과정을 통해 복제돼지로 탄생했는지 설명을 좀 해 주세요.말하자면 좀 긴데…. 잘 들으세요. 우선 연구팀은 ... ...
죽은 쥐 심장 되살렸다
과학동아
l
200802
이 방법은 인체의 면역체계와 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테일러
교수
는 “합성물질을 몸 안에 이식하는 것보다 자신의 세포를 병든 심장에 이식하는 것이 부작용이 적다”며 “10년 뒤면 쥐 심장 재생 기술이 인간에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대기오염 잡으러 나선 휴대전화
과학동아
l
200802
대기 상태와 위치 정보를 통해 지역별 대기 오염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칸조
교수
는 “여러 지역의 대기 정보를 세세하게 볼 수 있어 대기오염이 천식에 미치는 영향처럼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분야도 연구할 수 있다”며 “자전거에 싣고 다녀야 할 정도로 큰 센서를 텔레비전 리모컨 ... ...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02
20여 년 동안 행복과 창조에 대해 연구한 미국 시카고대 심리학과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교수
의 몰입 개념이 고스란히 들어 있다. 좋아하는 일을 찾고, 도전적인 과제를 찾아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몰두하는 것, 행복과 창조의 지름길에 우뚝 서 있는 푯말임이 분명하다. 행복한 척하면 정말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02
홍덕 젊은 석좌
교수
에 선정되는 등 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1994년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로 부임한 뒤 총 78편의 논문을 냈다. 이 가운데 임팩트팩터(IF) 10 이상인 저명한 저널에 낸 논문은 총 12편. 이 때문에 그의 논문을 인용한 횟수는 2007년 말 1600회를 넘어섰다.오늘도 생체분자의 모양을 밝혀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02
는 금세기 말 기온이 최대 6.4℃ 올라갈 거란 비극적인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안순일
교수
는“대기 중 온실기체의 농도가 계속 높아지면 지구의 기후가 밀란코비치주기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지구의 기후를 조절해온 자연 주기가 힘을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다음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02
시기가 올 것이다. 연구팀은 5억 년 뒤에 이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캐스팅
교수
는 계산이 정확하다면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기간은 45억 년이 아니라 5억 년뿐이라고 밝혔다.이런 상황이라면 인류가 살기 위해서는 지구를 떠나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거나 지구를 태양에서 멀리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02
두 배로 늘린 셈이다.나아가 1990년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장피에르 콜린즈
교수
는 게이트 전극이 전류통로 전면을 감싸는 구조인 ‘전면게이트’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수문장이 통로 전체를 지키고 있기 때문에 누설전류를 막아 트랜지스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가장 효과적으로 막는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02
환자는 영상을 통해 자신의 질병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됐다.서울대 의대 최병인
교수
는 원격진료의 가능성도 점친다. 그는 “어디서든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헬스(U헬스) 세상이 오면 의료영상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영상유도수술이나 가상 수술은 의료영상이 ... ...
ISS 과학실험 최종 리허설
과학동아
l
200802
붓는지 정밀하게 알아낼 수 있다. 이 실험을 제안한 ‘얼굴전문가’한남대 조용진
교수
는 “우주에서 사람의 얼굴 변화를 측정하는 연구는 세계적으로 이번이 처음”이라며 “실험을 위해 ISS에서 카메라를 고정해 혼자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말했다.이날 고 씨와 이 씨는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