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4
버지니아공과대학교가 2, 3위를 차지했대. 우리나라에서는 국민대학교 김정하
교수
팀이 플로리다대학교팀과 공동연구자로 참가했는데, 2008년 대회부터는 단독으로 참가할 계획을 세우고 있대.무인 자동차 연구가 활발해지면 앞으로 졸음을 참아가며 운전할 필요가 없어지고, 화물을 운송 할 때는 ... ...
거미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4
없는 거미줄에는 1마리가 걸리는 셈이었어요. 하얀색 X자가 먹이의 눈길을 더 끈 거죠. 쳉
교수
님은 먹이를 더 많이 잡기 위해 이렇게 진화한 거라고 설명했어요.그런데 거미를 잡아먹는 동물의 눈에도 잘 보일 것 같아요.맞아요. X자 거미줄에 사는 거미가 그렇지 않은 거미보다 말벌에게 3배나 더 ... ...
가상인터뷰 - 자격루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전, 우리나라의 유물 가운데 자동으로 제어를 할 수 있는 유물을 찾은 게 시작이었죠. 남
교수
님은 물과 구슬을 이용해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 주는 절 찾아 내셨고, 그 때부터 절 다시 태어나게 하려고 갖은 노력을 하셨죠.다시 태어나는 과정이 만만치 않았다고 들었어요.도대체 어떤 원리로 ... ...
블럭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아이디어로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생물공학부 드류 앤디
교수
는 DNA벽돌(바이오브릭)을 만들었어. DNA벽돌은 양 끝에 연결 부위가 달린 DNA 조각이야. DNA벽돌을 레고 블록처럼 조립해 우리가 필요한 기능을 하게 만들 수 있단다. DNA도 쉽게 조립하는 세상. 정말 신기할 ... ...
Part 2 보석보다 소중한 신토불이 생물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저장해 자신을 보호한다. 이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ABA라는 호르몬이다. 황인환
교수
는 ABA 호르몬의 농도를 높여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식물을 만들어 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건조한 지역에서도 잘 자라는 농작물을 만들 수 있다. 작다고 무시하면 큰코 다친다세균이나 아메바 등 맨눈으로 ... ...
과학뉴스 - 자격루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3
받고 있어요.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제임스 톰슨
교수
와 일본 교토대학교 야마나카 신야
교수
님은 최근 각각 다른 방법으로 피부 세포를 배아줄기세포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두 연구팀은 피부 세포에 네 가지 유전자를 넣어 배아줄기세포로 바꿨어요.그 동안 배아줄기세포를 얻으려면 ... ...
카이스트 유룡
교수
국가과학자 선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2
튜브를 쉽게 만들 수 있는 거푸집을 독창적으로 만들어 세계의 주목을 받았어요. 유
교수
가 만든 나노 튜브는 수소로 움직이는 수소 자동차를 만드는 데도 쓸 수 있대요 ... ...
천기누설 날름도사 '혀'씨의 고민을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2
맛은 컴퓨터에 저장되고, 저장된 맛은 새로 측정한 맛과 비교할 수 있다고 하는구나.
교수
님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더욱 더 작은 크기의 전자혀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연구하고 계신다! 앞으로 전자혀는 음료수 공장에서 맛을 감별하는 데 쓸 수도 있고, 전자혀를 대기만 하면 맛을 말해 주는 맛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2
처음에는 중등학교에서 철학 교사로 일했으나 1935년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 사회학
교수
로 부임하면서 열대 지방의 원주민과 직접 접촉해 그들을 자세히 관찰했다. 레비스트로스는‘슬픈 열대’라는 책에서 순수한 원주민 사회를 황폐화시키는 서구 문명에 대해 분노하며 ‘뒤떨어져 보이는’ ... ...
적혈구만 한 ‘나노 다보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1
을 한국 과학자가 만들었어요. 한남대학교 이광섭
교수
와 카이스트 양동열, 공홍진
교수
팀이랍니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걸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액체 합성수지나 세라믹에 레이저를 쏘면 액체가 굳어요. 연구팀은 이렇게 굳은 물질을 수백 층 넘게 쌓아 다보탑을 만들었어요. 이 다보탑은 폭20 ... ...
이전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