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피를 빨아 먹기 위해 혈액 응고 단백질의 작용을 방해한다. 이 과정에서 구충이 분비하는
물질
을 약으로 개발하려는 것이다.미국 아이오와대 조웰 웨인스탁 박사는 더 ‘엽기적인’ 약을 기생충을 이용해 개발하고 있다. 아이오와대 의대 연구진은 1997년 궤양성 대장염에 걸린 환자 7명에게 동물의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 연구가 한창이다.조선시대 과학수사대도 혈흔을 찾기 위해 화학
물질
을 활용할 줄 알았다. 증수무원록언해에서 명시한 고농도의 초가 바로 그것이다. 이윤성 교수는 이 방법에 대해 “다른 단백질을 제외하고 사람의 피만 분별하는 방법으로는 부적절하다”고 말하면서도 “혈액의 단백질 성분이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그다지 검지 않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은 블랙홀이 놀부처럼 무조건 빛과
물질
을 흡수만 하는 것이 아니라, 흥부처럼 내놓기도 한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현대 천체물리학에서는 블랙홀을 거대한 에너지 탱크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블랙홀처럼 중력이 강한 천체는 주위의 시공간을 휘게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아예 사용하지 않는 방법도 개발해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지난해보다 동물 유래
물질
이 덜 사용되긴 했으나, 아직까지는 체세포를 분리할 때 동물 효소와 혈청이 필요하다고 한다.뿐만 아니라 만능 줄기세포를 질환 부위에 딱 알맞은 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시키는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황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각종 증상을 억제한다. 문제는 치료에 가장 효과가 있는 이들 약물이 다른 신경전달
물질
에도 작용해 신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는데 있다.치료 효과를 부인하는 일부 환자의 약물 복용 거부도 약물 치료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정신분열병을 앓는 대다수 환자들은 자신의 병을 인정하지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M램을 소개한다.상전이 메모리(P램, Phase Change)작동원리 : 전류가 흘러 온도차이가 생길 때
물질
에 상변화(Phase Change)가 일어나 결정이나 비정질 상태로 변한다. 이 때 저항이 낮은 결정상태를 0으로(a), 저항이 높은 비정질 상태를 1로(b) 인식해 데이터를 저장.장점 :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 용량이 큼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당밀에 많다 L-아스파르트산은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도 존재한다 D-아스파르트산은 항생
물질
바시트라신의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아스파라긴의 가수분해로 얻을 수 있다 인간에게는 비필수아미노산이다 혈액 속에 들어 있는 산과 염기 중 산이 증가한 상태 혈액의 산성 · 알칼리성은 ... ...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배우 중 누군가 이런 가면을 쓰지 않았을까. 코를 성형수술 할 때는 고어텍스 같은
물질
을 넣는다. 환자의 코에 넣었다가 모양이 잘 맞지 않아 다시 꺼낸 고어텍스를 전자현미경 40배 배율로 찍은 작품. 고어텍스의 원래 색깔은 흰색이다. 04. 사막의 블랙홀이도형·경기 일산백병원 안과갈색 모래로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01680 고효율 초저가 박막 태양전지 보급 201381 마이크로 플라즈마 의료기기 개발 201682 오염
물질
실시간 자동분석 기술 실용화 201483 자연어 대화가능 로봇 개발 201884 쓰레기자원화 빌딩시스템 설계 기술 개발 201385 정찰·통신용 초소형위성군 실용화 201886 원자로 안전성 극대화 기술 보급 201187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못한다. 그러다가 시냅스를 이루고 있는 신경세포막의 표면으로 올라가면 신경전달
물질
과 반응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수용체는 구조가 변해 무기이온이 지나가는 이온통로가 되거나 세포내 신호전달을 유도하는 신호단백질이 된다. 최근 수용체가 인산화되면 수용체를 통과하는 이온의 양이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