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미국
지진학회지(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도시의 80%가 파괴됐으며 30만 명에 이르는 사람이 집을 잃었다. 이를 계기로 그해 12월
미국
지진학회가 설립됐다. 학회는 1911년부터 학회지를 펴냈는데, 특히 샌프란시스코 근교의 UC버클리와 캘리포니아공대의 지진연구자들이 대지진 사례를 중심으로 활발히 논문을 기고했다. 이들의 노력으로 193 ... ...
[과학뉴스] 돼지 심장 품은 원숭이, 2년 생존 기록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돼지의 심장을 이식하는 ‘이종 이식’에서 최장 생존 기록이 세워졌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팀은 개코원숭이 다섯 마리의 흉부에 돼지 심장을 이식해 평균 290일, 최장 900일 이상을 생존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커뮤니케이션스’에 4월 5일 발표했다. 이전까지 최장 기록은 250일에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손상을 입어 손을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가 컴퓨터를 통해 물건을 잡는 데 성공했다.
미국
파인스타인 의학연구소의 차드 보턴 연구원팀은 환자 뇌의 미세한 전기신호를 컴퓨터를 거쳐 팔에 부착된 패치로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연구팀은 환자가 컴퓨터 모니터를 보며 가상으로 손을 움직이는 ... ...
[과학뉴스] 어류와 사지동물의 ‘연결!’ ‘고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어떻게 육지동물로 진화했을까. 그 연결고리를 풀 신비로운 동물이 태국에서 발견됐다.
미국
뉴저지공대 브룩 플라망 교수팀은 태국 북부의 매라나 동굴에서 사지동물을 연상케 하는 크립토토라 타미콜라(Cryptotora Thamicola)를 찾아냈다.연구팀은 이 동굴어가 육지와 물속을 오가며 서식하는 하와이 ... ...
[과학뉴스] ‘아가미 필터’ 노하우 밝혔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아가미가 미세한 물질까지 걸러내는 원리가 밝혀졌다.
미국
윌리엄메리대 생물학과 로리 센데르손 교수팀은 신개념 필터에 적용할 수 있는 물고기 아가미의 여과 원리를 밝히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29일자에 발표했다. 금붕어와 고래상어 등의 어류는 아가미로 바닷물을 빨아들인 뒤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등과 함께 태양계 밖 탐사를 추진한다. 호킹 박사는
미국
뉴욕에서 현지시간으로 4월 12일에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우주선을 만들어 한 세대(30년) 내에 탐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브레이크스루 스타샷(Breakthrough Starshot)’이라는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가능한 일이다. 인건비는 각 연구실이 계획을 세워 십시일반으로 마련한다. 서인생
미국
노트르담대 연구계산센터 박사는 “우리 센터에선 중장기적으로 스태프 과학자와 테크니션의 인건비를 위해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비는 비정기적으로 들어오지만 적금을 붓듯 돈을 모아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출신이다). 논문을 잘못 찾았나 확인했지만, 분명 생물학 논문이었다. 논문의 저자인
미국
MIT 크리스토퍼 보이트 교수팀은 유전자를 설계해주는 프로그래밍 언어 ‘첼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래서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전자회로와 유전정보가 한 논문에 이름을 올리게 된 것이다.2)첼로는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빛나고 있다. 효소, 잡았다! 예술 분야에서도 합성생물학에 대한 관심이 높다.
미국
시카고예술대(SAIC)의 에두아르도 카츠 교수는 인공유전자를 이용한 예술을 시작한 지 올해로 18년 째다. 그는 이 분야의 선구자로 꼽힌다. 1999년에 제작한 ‘창세기(Genesis)’가 시작이었다. 그의 작품들이 유전자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추정할 때 특정 연구의 결과를 검증 절차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국
에만 여섯 군데의 시체농장이 있고 지역과 기후에 따른 시신의 부패 결과를 비교 검증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전북경찰청을 중심으로 사후경과시간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장차 우리나라 기후와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