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망고 vs 파파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가까워요. 그래서 열매를 언뜻 보면 망고와 헷갈리기 쉽답니다.파파야와 망고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씨앗이에요. 망고는 열매 하나에 커다란 씨앗이 한 개 들어 있는 반면, 파파야는 하나의 열매 속에 까맣고 동글동글한 씨앗이 여러 개 들어 있거든요. 또한 파파야는 망고에 비해 단맛이 덜 하고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지요. 프림 알고리즘은 아무 점이나 선택해 연결된 점가운데 가장 비용이 적은 곳으로 이어가는 방식이에요. 연결되는 점이 늘어날수록 선택할 수 있는 경로의 수도 늘어나지요. 크루스칼 알고리즘과 달리, 여러 점에 연결된 선들을 한꺼번에 탐색하기 때문에 점의 수가 많을 ...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30년 전만 해도 사람들은 1.5MB(메가바이트) 크기의 정보를 담기 위해 손바닥만 한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했어요. 지금은 손톱 크기의 칩에 플로피 디스크 용량의 수 ... 박사는 “저온이나 고진공 상태에서만 이 장치를 쓸 수 있다는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숙제”라고 밝혔어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차이는 누가 어떻게 잴까요? 그 주인공은 바로 지구 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이에요. 가장 최근 공개된 중력장 지도를 만든 인공위성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지난 2002년 우주로 쏘아올린 ‘그레이스(GRACE)’와 ‘챔프(CHAMP)’라는 쌍둥이 위성이에요. 두 위성은 고도 450km 상공에서 일정한 거리를 ...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하면 닿았는지 아닌지는 물론 어떤 강도로 공격을 했는지 알 수 있는 장비지요. 하지만 가장 높은 점수가 주어지는 머리 공격에는 전자 채점 장비가 없어서 판정 시비가 잦았고, 이 때문에 경기의 흐름이 끊어지는 경우가 많았어요.그런데 이번 리우올림픽부터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쓰는 ...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들어 보자!일리 :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 안녕하세요. 인공 뇌 : 저는 신체 내부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인 뇌예요. 더 정확히 말하자면, 뇌의 여러 부위 중 운동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중뇌’랍니다. 뇌의 중심에 자리를 잡고 있고, 주로 눈의 움직임을 제어하거나 대뇌에서 보내는 운동 ... ...
- Part 5. 반려견, 사지 말고 입양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버리지 않기!우리가 가장 먼저 할 일은 강아지 번식 공장의 강아지를 사지 않는 거예요. 전문가들은 마트나 애견샵에서 강아지를 사지 말고 보호소에 구조된 유기견을 입양할 것을 적극 추천하고 있지요.그런데 강아지를 입양할 땐 꼭 명심해야 할 것들이 있어요. 우선 가족들과 충분히 상의해야 ... ...
- Part 2. 미션 ➊ 강력한 방사성 물질을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수 있는 거예요.▼확대가볍고 튼튼한 티타늄 갑옷주노는 지금까지의 행성 탐사선 중 가장 위험한 환경에 놓여있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주노에 티타늄 갑옷을 입혔답니다. 티타늄은 강철만큼 단단하면서도 무게가 강철의 절반인 금속이에요. 화학적으로도 안정된 상태라 첨단 우주선이나 비행기 ... ...
- [도전! 코드마스터] 빠른 길 찾기의 비결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만들어요. 그리고 한 지점을 거칠 때마다, 최종 목적지까지 걸리는 거리를 계속 수정하며 가장 가중치가 적은 경로를 찾는 거예요.예를 들어 수호 집과 학교 사이에 공원, 마트, 은행, 한결이 집이 있다고 해 봐요. 그러면 이 네 군데를 거쳐가는 길을 하나씩 그려가며 학교까지 걸리는 가중치를 각각 ... ...
- [출동! 섭섭박사] 칠교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구분 못할 정도로 비슷해요. 예를 들어 정사각형의 한쪽 변의 길이를 1이라고 했을 때, 가장 큰 이등변삼각형의 빗변은 2, 밑변은 약 2.83이에요.그런데 우리 눈은 이 둘의 차이를 구분하기 힘들어요. 그래서 작은 직각이등변삼각형으로 툭 튀어나온 부분을 만든 왼쪽과, 큰 직각이등변삼각형 두 개를 ... ...
이전4904914924934944954964974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