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코드 마스터] 엉망진창 책장 속 책들, 어떻게 정렬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1, 2 순으로 들쑥날쑥하게 꽂혀 있는 책들을 1~5까지의 오름차순으로 정리해 볼까요? 먼저
가장
왼쪽에 있는 3을 기준으로 둘게요. 그리고 왼쪽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기준보다 큰 숫자를 찾고, 오른쪽부터 왼쪽 방향으로는 기준보다 작은 숫자를 찾아요. 이렇게 필요한 숫자를 찾는 점을 각각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하지만 글자를 이루고 있는 요소를 하나하나 뜯어 보면 어렵지 않답니다. 우선 글자의
가장
왼쪽에 있는 ‘나뭇조각 장(爿)’은 ‘장’이라는 소리를 따기 위해 사용됐어요. 따라서 감출 장은 ‘장(爿)’자를 빼고 약자로 ‘蔵’로 쓰기도 한답니다.글자의 뜻을 쉽게 알아보기 위해 약자를 ... ...
[수학 뉴스] 중독성 강한 노래가 히트한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중독성이 강한 노래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제목과 특징, 가수 그리고 노래에서
가장
귀에 맴돌던 부분을 물었습니다. 이를 통해 얻은 3806개의 노래 중 영국의 음악차트에 오른 적이 있는 노래 1558개를 골랐습니다.연구팀은 선택된 노래의 음악차트 순위와 차트에 올랐던 기간을 조사한 뒤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함수에 대입합니다.이때 함숫값을
가장
작게 만드는 데이터가 바로 실제 와후류에 대해
가장
잘 알려주는 데이터입니다. 이 값으로 다음 비행기가 얼마나 기다렸다가 이륙해야 하는지 알 수 있지요. 불평하는 요원들에게 이 이야기를 해주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군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시스템이 위와 같다고 가정하고 수학동아 독자답게 뽑기의 가치를 추정해보자.
가장
쉬운 방법이 기댓값이다. 기댓값은 확률에 가격을 각각 곱한 뒤 이들을 모두 더한 수치다. 이것을 계산하면 랜덤박스를 열 때 얼마를 기대할 수 있는지 나온다.아돌이 3000원을 내고 산 랜덤박스의 가치는 2650원이다.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새가 다시 하늘을 날 수 있거든요.게임 오버 판단은 원과 직선의 관계로!플래피 버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장애물과 새가부딪혔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거예요. 보통 이럴 때는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따져 판정해요. 새를 둘러싸는 원과 장애물을 둘러싸는 사각형을 최대한 작게 그려요. 즉 좌표 ... ...
[재미] 제35화 채소 키우기 대작전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심으려 한다. 상추는 9평, 깻잎은 15평, 딸기는 6평을 심으려고 할 때, 참외는 몇 평을 심어야 할까?아로가
가장
넓은 땅을 가지려면 10m짜리 끈을 어떤 모양으로 만들어야 할지 논리적으로 설명하라 ... ...
[과학뉴스] 우유주사 프로포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때문입니다.프로포폴은 대표적인 향정신성의약품(마약)입니다. 동시에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맥주사용 수면마취제이기도 합니다. 작용 시간이 짧고 회복시간도 짧아 간단한 시술에 주로 사용하죠. 하지만 부작용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내시경 중 호흡이 멈춰 환자가 사망한 ... ...
[과학뉴스] ‘화성의 달’ 속 거대 크레이터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주변을 도는 위성 가운데
가장
큰 포보스(지름 22km)는 표면에 지름이 9km나 되는 거대한 ‘스티크니 크레이터’가 있다. 이것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연구팀은 소행성이나 혜성이 포보스와 부딪치면서 스티크니 크레이터가 생기는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조미료는 사탕수수를 발효시켜 MSG 성분을 순도 95% 이상으로 만든 것으로, 감칠맛을 내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채소단백질의 비율이 낮아서 MSG의 양도 적다. 하지만 내부에 있는 MSG의 10% 이상이 감칠맛을 느낄 수 있는 유리MSG 상태다. 그래서 야채 국물도 꽤 감칠맛이 난다. | 양파 4564g | ... ...
이전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