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의「나는 실험실」미국에 착륙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미 해양대기국(NOAA)의 지구물리학자 듀허스트가 7개월간 노력한 결과 성사됐다. 그는 92년
초
모스크바의 그로모프비행실험소에서 이 '나는 실험실'을 보고 이를 미국에 전시해야겠다고 생각, 소련과학자들과 미국 당국자들을 끈질기게 설득했다.이류신에 탑재된 장비는 정밀한 과학탐사에 이용될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때 물통속으로 바닷물이 들어온다. 이 물은 직경 63㎛인 가는 체에 의해 걸러진다. 1
초
당 2백ℓ의 물이 여과되는데 그 정도의 여과속도라면 동물성 플랑크톤은 별다른 손상을 입지 않는다고 한다. 동물성 플랑크톤을 채집하는 체의 크기는 양어장의 물고기들의 발전단계에 따라 달라진다.퀸은 자신이 ... ...
35㎜ 콤팩트 카메라시대 열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뿐이다. 그래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구조는 앞으로도 상상을
초
월할 정도로 발전할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기계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단지 버튼 하나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편의주의에 빠질 염려가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자신에 맞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것이 ... ...
생산·연구현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펴야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도전하는 전략을 택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현실적인 방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
초
과학이 전혀 무시돼서도 안될 것이다. 여기서 산업기술을 강조하는 것은 중단기적 정책우선 순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우리의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는 의미다.우리나라 기술혁신체제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투자의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훌륭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27일 12시경 달과 금성이 최접근하지만 낮이기 때문에
초
보자는 이것을 확인하기 어렵다. 그래도 저녁 6시경에는 달과 금성이 약 4.5º정도 떨어져 있게 된다.■지구 태양 화성의 일직선1988년 화성의 대접근 때 화성은 전갈자리의 안타레스를 무안하게 만들었고, ... ...
1 586 칩 펜티엄 출현예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세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발빠른 성장 예고되는 네트워크분야가격 보다는 성능에
초
점을 맞춰 제품개발 전략을 세우는 각 업체들은 무엇보다 사용자들의 요구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데 눈과 귀를 모으고 있다. 고도의 하이테크 제품인 PC를 만드는 업체들은 '만들기만 하면 팔리는' 전성기를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 혜성 관측의 마지막 시기는 12월 중순이었다. 혜성의 근일점 통과일인 12월 12일은
초
저녁 무렵에 달의 영향에서 벗어나 관측할 수 있는 때로 많은 아마추어들이 망원경을 겨누었다. 이 무렵의 박명시 고도는 약 15도 정도로 많이 낮아지기는 하였으나 혜성이 밝아 관측에 큰 어려움은 없었다.12월 ... ...
낮과 밤의 리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밑이라 하더라도 절반 정도의 잡
초
만이 발아를 하는 것이다.따라서 만약 당신이 잡
초
와 무관하다 해도 밝고 어두움의 리듬을 잘 살피는 것이 좋을 것이다. Rhythmic alterations of day and night rule our planet and everything on it. Several recent news items-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어찔어찔하고 식은 땀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우주멀미는 무중력상태에 들어가서 최
초
24시간 이내에 시작돼 2일 정도 계속되는데 아직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무중력상태에 대한 생리적인 연구가 선진국에서 지금 한창 진행되고 있으며, 선진국들은 이곳에서 21세기를 주도할 ... ...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대략 태양-금성거리 정도였다.다른 천문학자들은 이 발견에 회의적이었다. 왜냐하면
초
신성 폭발의 결과 별의 질량이 줄어들어 펄사는 행성을 묶어두지 못할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1969년과 1979년에도 펄사행성을 발견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그것은 오류로 판명됐기 때문에 이번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