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컴퓨터 20세기내 실용화 어려울듯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제6세대컴퓨터로 불리는 광컴퓨터는 20세기안에 실용화가 어려울 전망이다. 최근 AT&T코리아가 마련한 '벨연구소 첨단정보통신기술세미나'에서 쿠마 파텔박사는 ... 1963년 최
초
로 이산화탄소에서 레이저운동을 발견한 파텔박사를 비롯, AT&T 벨연구소의 기
초
과학 분야 전문가 5명이 참가했다 ... ...
청소년상담 통신망 등대BBS 운영하는 현직교사 서영창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적힌 내용은 상담교사만이 본다. 그리고 그 답장은 우체통으로 배달된다. 등대BBS는
초
창기에 '호롱불'이란 BBS프로그램으로 운영됐으나 5월부터 유닉스로 운영체제를 바꾸었다. 유닉스는 다중작업이 지원되기 때문에 채팅이나 주제토론이 가능하다고 한다. 아직 전화회선이 하나 뿐이어서 채팅은 ... ...
'파이어니어'와의 안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주로 이산화탄소인데 더욱 독한 유황 불화수소 및 염화수소산이 포함돼 있다. 1992년
초
에 UCLA의 데이비드 베이커2세와 제럴드 슈베르트는 금성의 대기중 어떤 부분은 어쩌면 현재 연구하고 있듯이, 대기층간의 동력에 의해 얇지만 수평형으로 넓은 대류전지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
4 석유대신 바이오매스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검토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광합성 박테리이를 이용한 수소생산에 대한 기
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폐수를 처리해 수소를 얻는 공정에 대한 연구를 칙수한 상태다.생물공학과 에너지와의 만남은 주로 바이오리액터를 통해 이뤄진다. 바이오리액터란 효소나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 효소는 값싼 천연자원을 이용해 고부가가치의
초
정밀화학물질을 저렴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효소반응은 일반화학반응과 달리 상온 상압에서 진행할 수 있는 저(低)에너지 요구형태의 생산공정을 갖고 있으므로 자원과 에너지의 절약을 유도할 수 있다.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요구되는 기능 회로가 집적화 되어 전파 자원의 한계점까지 전파자원을 활용하는
초
고주파 전자회로들이 통신의 공간제약성을 해결하여 줄 것이다. 이와 함께 반도체는 전자 회로만을 위한 기능에서 탈피하여,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와 생체 세포 규모의 미세기계를 제작하는 기술로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유의하자. 신성은 또한 별 자신의 폭발에 의하여 1억배 이상 밝아지는 앞서 설명한
초
신성과도 구분돼야 한다.검은구멍을 가진 쌍성/백조자리 X-1쌍성내에서 한 별이 먼저 진화해 이번에는 검은구멍이 되었다고 하자. 검은구멍 주위에 유입물질 원반이 형성되는 과정은 백색왜성의 경우와 다를 바가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초
식동물이었기 때문에 주둥이의 모양이 풀을 뜯어먹기 알맞게 발달(진화)했다. 백악기
초
에 나타난 이구아노돈(그림 5) 같은 놈은 마치 오리 주둥이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온혈동물이라는 주장 대두뿔용을 비롯해 백악기는 각종 공룡들이 가장 번식한 지질시대인데, 뿔용은 네 발로 걸어 다닌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주장을 내세우기 어려워하지요. 이같은 성향은 여학생들의 취업목표를 낮추는 결과를
초
래하지요. 아울러 퀴리부인을 제외하고는 자신의 모델로 삼을 만한 여성과학자가 적다는 점도 여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목표를 낮추게 합니다."사실 미국의 우수한 대학생들이 '노벨상쯤은 나도 받을 수 있다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한국에서는 우수한 성능의 검출기 개발을 통해 입자물리 실험에 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초
전도거대가속기(SSC) 등을 활용할 앞으로의 실험들은 실험환경이 현재 실험보다 훨씬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검출기 기술에 또 한번의 획기적인 발전이 요구된다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