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9,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06
뭔가 특별한 것을 찍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촬영한 영상이 황량하게 느껴지는 현상은
바로
눈과 카메라의 차이를 말해준다. 우리가 집중한 대상이 눈에는 크게 들어오지만 카메라 렌즈는 그렇지 않다. 어떤 부분을 집중해 찍으려면 대상에 접근해 카메라의 화각을 그만큼 줄여줘야 한다.빛으로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06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은 극락이 아니라 깨달음입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깨달음이
바로
불교의 ‘잡화엄식’(雜華嚴飾) 사상입니다. 장미와 백합만이 아니라 온갖 잡스러운 꽃이 세상을 멋있게 장식하죠. 도구를 만들었다고, 달나라에 갔다고 위대한 것이 아닙니다. 인류는 굶주림에서 벗어나 ... ...
과학 다큐 시리즈 대명사 - 노바온라인
과학동아
l
200506
(외)할아버지를 살해합니다. 그러면 당신은 어떻게 될까요? 당신은 태어날 수 없으니
바로
사라지게 될까요? 아니면 당신은 이미 존재하므로 앞으로도 계속 살아있으며, 오히려 미래의 사건이 달라지는 새로운 결과가 만들어질까요? 패러독스의 핵심은 당신의 할아버지를 살해함으로써 당신이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이공계의 역할에 대한 글을 쓰고 한국물리학회의 교육위원장으로 잘못된 과학교육을
바로
잡는 일을 하는 등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도 많이 하고 있답니다.의사가 되고 싶었어어린 시절 교수님은 과학과 수학을좋아하고사회, 미술은 싫어하는 어린이였다고 해요.“원리를 알고 여러 가지를 연상할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05
나서
바로
단백질 차단제를 처방해 나쁜 기억만을 선택적으로 지울 수 있을지 모르지만,
바로
그때 소중한 기억이 같이 떠오르면 그 기억마저 잊어버릴 수 있음을.기억은 나의 정체성어느 날 갑자기 내 모든 기억이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 영화 ‘내 머리 속의 지우개’에서 주인공 수진(손예진)은 ... ...
땅속 찌든 때까지 씻어낸다
과학동아
l
200505
방법이 필요합니다.”연구실은 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이 고민에 해답을 하나 내놨다.
바로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에 사용하는 해조류를 키우는 것. 이들은 나란히 배열한 배양기 안에 해조류를 빽빽이 심어 빛을 받는 면적을 최대한 크게 설계했다. 그리고 24시간 빛을 쬐어주고 양분을 순환시키며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05
영상에 흥분했다. 투과영상을 찍은 대상 자체는 특별할 것이 없었지만 투과영상 기술이
바로
T선이었기 때문이다. 이 투과영상 덕분에 많은 사람들의 뇌리에는 T선 기술이 조만간 우리 주변으로 다가오리라는 메시지가 강하게 새겨졌다.그때부터 지금까지 10년 동안 과학자들은 이 메시지를 실현하기 ... ...
수천개의 젊은 별들이 만들어낸 무서운 우주 독거미 타란툴라
과학동아
l
200505
.2m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을 보라. 2002년 6월 공개된 이 사진의 중앙에 붉게 보이는 대상이
바로
타란툴라성운이다. 18세기 중반 프랑스의 천문학자 루이 드 라카유가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 근처에서 밤하늘을 관측하다가 발견한 이 성운은 여지없이 타란툴라를 떠오르게 한다.가장 그럴듯한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05
원자의 이웃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면 이 정보를
바로
얻을 수 있다.김 교수는 자신의 생각을 확인하기 위해 한양대 세라믹공학과 동료 교수와 함께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으로 동일한 문제를 직접 시뮬레이션 할 예정이다. 그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05
계산기가 버젓이 등장한다. 그러나 수학을 비롯해 첨단 과학을 이끌어 가는 나라는
바로
그들이다. 수학을 통해 계산력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논리력을 배우기 때문이다.1970년대 국내에서 암산으로 두자리 수의 곱셈을 해내는 KHM 암산법이 등장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지금의 19단을 넘어 100단에 ... ...
이전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