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9,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성공했는지 한번 살펴보기로 할까? 무게 중심피사의 사탑이 쓰러지지 않는 이유는
바로
무게 중심에 있다. 무게 중심은 균형과 안정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다. 무게 중심은 물체의각 부분에 작용하는 중력의 합이 항상 무게 중심을 지나 작용한다는 점을 이용하면 구할 수 있다. 물체의 한 ... ...
암·당뇨 집에서 혼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505
안에 검진이 완료되고 분석 결과가 나온다”며 “이 장치를 병원과 연결해 진단 결과는
바로
의사에게 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또 그는 “이 제품에 대한 1차 표본 시험 결과 90%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승인을 받는 내년 상반기쯤 시판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05
시각 관련 시냅스가 활발히 생성되는 특정 시기, 즉 시냅스 가소성이 가장 왕성한
바로
그 시기에 들어온 시각정보에 대한 기억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추측된다.각막이상으로 시력을 상실한 환자의 경우도 비슷하다. 각막이상이 아주 어린 시절에 발생했다면 이미 시각피질 회로가 제대로 발달되지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05
설명이다.어떤 노래가 유행할까? 힌트는 수컷이 번식기에 암컷을 유혹하는 소리가
바로
노래라는 사실에 있다. 어떤 수컷이 부른 노래를 암컷이 좋아하면 다른 수컷도 이것을 열심히 따라 부르고 결국 전체에 유행한다.‘작은 마디 A, 다음에 B, C, 다시 A···’하는 식으로 레퍼토리의 순서도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05
운영자로부터 약 50m 떨어진 거리. 물론 자갈밭을 지나는 상황도 아니었다.문제는
바로
방해전파 때문이었다. 롭해즈가 사용하는 2.4GHz는 국제적인 합의를 거쳐 휴대전화나 이동통신장치용으로 이미 배정된 주파수 영역이었다. 방해전파를 쏴 상대방의 전자장비를 ‘멍텅구리’로 만드는 현대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05
닿지 않은 기준파가 만나면 서로 중첩돼 수많은 선으로 이뤄진 간섭무늬가 생긴다.
바로
이 무늬가 필름에 기록된다. 간섭무늬에는 빛의 밝기뿐 아니라 물체 각 부분까지의 거리 정보도 함께 들어있기 때문에 필름에 기록된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간섭무늬는 태양광이나 형광등처럼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4
이 책을 읽으며 미지의 세계에 대한 꿈을 가슴 깊이 간직한 소년이 있었답니다.
바로
장순근 박사님이에요. 남극 세종기지에서 무려 네 번이나 월동대장을 지내며 우리나라 극지 연구의 기반을 세운 박사님과 함께 남극으로 떠나 볼까요?★★★ 장순근 박사님은1946년 함경남도 안변 출생1969년 ... ...
식물도 조각퍼즐을 좋아한다
과학동아
l
200504
그런데 식물도 조각퍼즐 맞추기 고수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들의 사용하는 조각은
바로
세포.미국 리버사이드 소재 캘리포니아대 젠비아오 양 교수팀은 잎의 세포가 조각퍼즐처럼 서로 맞물려 자라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셀’ 3월 11일자에 발표했다.세포가 이처럼 배열된 것은 연약한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04
이용하는 방안을 내놓고 있다.단적인 예로 ‘애드혹 네트워크’가 주목받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이미 다른 목적에 배정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가까운 통신장치끼리 서로 정보를 교환하며 멀리 있는 목적지까지 정보를 순식간에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04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이런 현상을 유전자차원에서 명쾌하게 밝힌 연구자가
바로
김언경 교수. 올해 경북대에 부임한 김 교수는 지난 5년간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쓴맛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김 교수는 PTC를 감지하는 쓴맛 수용체의 유전자를 인간의 7번 염색체에서 찾아냈다. TAS2R38로 명명된 ... ...
이전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