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진한 영역이다.이곳에서 은하수를 따라 아래로 약 10도 가량 내려간다. 다시 은하수가
부분
적으로 조금 진한 영역을 만나게 되는데, 독수리성운은 이곳에서 북서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아주 맑은 밤이라면 성운을 흐릿하게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은하수의 조각인지 성운인지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즉 홀로그램이 나타난다. 홀로그램의 흰 영역은 경석이 진동하지 않는 마디
부분
이다. 조화진동수가 커짐에 따라 진동하는 모양이 보다 복잡해지고 배와 마디의 수가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피를 통해 얻은 조화진동수와 푸리에 변환 분석을 통해 얻은 조화진동수가 일치함을 알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용하는 사진측량 제2차 세계대전 후 급속하게 발달하여 현재는 전세계의 지도들이 대
부분
이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위에서 밑으로 향하는 대기중의 전기장 공중 전기장이 있기 때문에 공지전류(空地電流)가 생기게 된다 공중전기장의 크기는 기후에 좌우되며 뇌운(雷雲)이 접근했을 때는 커지고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녹지 않는 아미노산이 절묘하게 균형을 이루며 나뉘어 있었다. 두 종류의 아미노산 경계
부분
에 ‘트립토판’ 이란 아미노산을 넣었을 때 항생 효과가 가장 컸다.토종 개구리 항생제는 기존 항생제와 전혀 다르게 작용했다. 세균의 내부에 침입해 그 안에 있는 성분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세균을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엄연한 차이를 구별해내기에는 아직 인간의 기술이 미비하다고 생각된다. 뇌의 작은
부분
이 활성화된 것이 제대로 측정되지 않았을 수도 있고 학자들이 만들어낸 실험모델이 불완전했을 수도 있다.따라서 디오니소스적 사랑과 아폴론적 사랑의 차이에 관해서는 인문학자뿐 아니라 뇌과학자들도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과학책들이 인생을 바꾼 계기가 됐는데, 특히 그 무렵 읽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
부분
과 전체’ 가 인상적이었다고.“불확정성의 원리로 현대 물리학의 흐름을 바꿔놓은 하이젠베르크의 책은 세상을 보는 또 하나의 창문을 얻은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했죠. 이런 경험으로 인해 좋은 책 한권이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따라 뿌리에 해당하는 부착지(附着枝)가 잘 발달한 대황이나 감태, 모자반류를 제외한 대
부분
의 부착동식물이 착생하지 못하는 환경으로 바뀌었다. 갯녹음으로 해양 생태계의 조성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사람들로 인한 오염도 한몫 한편 사람들의 활동으로 인한 오염도 독도 연안 갯녹음화에 어느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식해 인공유방을 만드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이 경우 모두 환자 자신의 몸에서 필요
부분
으로 옮겨 심는 것이다. 유전자가 1백% 같은 일란성 쌍둥이 사이의 장기이식은 자가이식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생명 유지에 직접 관계된 중요 장기는 자가이식을 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신장이 ... ...
5월의 밤하늘 가른 니트 혜성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한국천문연구원은 5월 13일 저녁 9시에 보현산천문대에서 촬영한 니트 혜성의 모습을 공개했다. 이 혜성은 밤 9시경 서쪽 하늘에 떠올랐으나 예상대로 맨눈으로 겨우 ... 볼 수 없었다. 혜성의 꼬리가 길어 두장을 찍은 뒤 합성한 사진이다. 클로즈업한
부분
은 혜성의 머리 중심인 핵이다 ... ...
다양한 포도 색깔은 이동유전자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세포의 DNA 속으로 들어가 융합된 바이러스성 DNA가닥으로 인간의 DNA에서도 상당
부분
을 차지한다. 포도껍질의 짙은 자흑(紫黑)색은 붉은 색소인 안토시아닌을 만드는 유전자 때문이다.일본 과수연구원 쇼조 코바야시 박사팀은 청포도와 연한 붉은색 포도의 안토시아닌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 ...
이전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