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과학책들이 인생을 바꾼 계기가 됐는데, 특히 그 무렵 읽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
부분
과 전체’ 가 인상적이었다고.“불확정성의 원리로 현대 물리학의 흐름을 바꿔놓은 하이젠베르크의 책은 세상을 보는 또 하나의 창문을 얻은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했죠. 이런 경험으로 인해 좋은 책 한권이 ... ...
5월의 밤하늘 가른 니트 혜성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한국천문연구원은 5월 13일 저녁 9시에 보현산천문대에서 촬영한 니트 혜성의 모습을 공개했다. 이 혜성은 밤 9시경 서쪽 하늘에 떠올랐으나 예상대로 맨눈으로 겨우 ... 볼 수 없었다. 혜성의 꼬리가 길어 두장을 찍은 뒤 합성한 사진이다. 클로즈업한
부분
은 혜성의 머리 중심인 핵이다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녹지 않는 아미노산이 절묘하게 균형을 이루며 나뉘어 있었다. 두 종류의 아미노산 경계
부분
에 ‘트립토판’ 이란 아미노산을 넣었을 때 항생 효과가 가장 컸다.토종 개구리 항생제는 기존 항생제와 전혀 다르게 작용했다. 세균의 내부에 침입해 그 안에 있는 성분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세균을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엄연한 차이를 구별해내기에는 아직 인간의 기술이 미비하다고 생각된다. 뇌의 작은
부분
이 활성화된 것이 제대로 측정되지 않았을 수도 있고 학자들이 만들어낸 실험모델이 불완전했을 수도 있다.따라서 디오니소스적 사랑과 아폴론적 사랑의 차이에 관해서는 인문학자뿐 아니라 뇌과학자들도 ... ...
마침내 다시 합쳐진 사자머리 조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2개로 쪼개진 뒤 오랫동안 따로 보관돼 왔던 고대 유물이 한 전문가의 직감으로 시작된 국제적인 조사 끝에 다시 복원됐다.문제의 주인공은 ... 반쪽짜리 사자머리는 세프톤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제이콥슨 일가도 나머지 반쪽
부분
을 박물관측에 기증해 결국 하나로 다시 합쳐질 수 있었다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발전으로 대
부분
의 전염병이 퇴치되면서 이 말은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오늘날 대
부분
의 사람들이 암을 비롯해 유전자가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질병으로 사망하기 때문이다.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이지만 질병유전자를 밝히는 노력은 병의 발생을 늦추거나 증상을 완화하는 길을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현상으로 어떻게 유체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일까? 방법은 물방울의 한쪽
부분
에만 표면장력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미세관 속 물방울의 양단에 전기가 따로 걸리도록 구조를 만든다. 그리고 물방울의 한쪽 끝에만 전기를 걸어준다. 그렇게 되면 한쪽 끝에만 일렉트로웨팅 현상이 일어나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이 같은 방법을 이용해 항공기 위치를 구하면 20m 정도의 오차를 나타낸다고 한다. 이는 대
부분
위성신호가 항공기나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전리층과 대류층을 통과하면서 약간 지연돼 발생하는 오차다. 또 안테나 주변에 건물 같은 방해물이 있어도 위성신호가 반사돼 오차가 생길 수 있고,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러시아 등 외국 박물관을 찾는 아이러니가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
부분
의 대학은 돈이 되지 않는 이런 기초작업까지 돌볼 여유가 없는게 오늘날의 현실이다. 결국 이런 일은 국립수목원 같은 국가기관의 몫으로 남게 됐다.“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유엔의 ... ...
과학 논문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그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얼굴로 인식한다는 것이죠.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요.뇌에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부분
은 등쪽 측두엽(ventral temporal lobe)으로 흔히 방추형 얼굴 영역(FAA, Fusiform Face Area)이라 부릅니다. 연구팀은 사람의 상반신 사진을 바탕으로 얼굴을 흐릿하게 하거나 아예 없앤 것, 아니면 흐릿한 얼굴을 떼어내 ... ...
이전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