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자석힘으로 소금물이 뱅글뱅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내면서 금속봉을 중심으로 뱅글뱅글 돌게 된다.⑤ 도는 것이 잘 보이지 않으면 소금을
조금
더 넣어주거나 스티로폴 조각을 띄워 본다. 입자가속기 원리도 여기서 비롯자기장 속에서 전기를 띤 입자(전자, 이온 등)가 운동을 하면 힘(로렌츠 힘이라고 한다)을 받아서 일정한 궤도를 도는 원운동을 ... ...
보고 듣고 냄새 맡는 바이오 컴퓨터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청각을 모델화하여 인공시각이나 음성인식에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하다.최근에는
조금
복잡한 생명체가 환경에 반응하고 상호 작용하며, 번식 및 진화해가는 인공생명 (artificial life)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인공생명의 나쁜 예가 될 것이다. 단백질과 실리콘의 차이 기존의 ... ...
'세계 공룡 대전'-쥐라기 지구 모습 재현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총동원돼 오늘에 이른다. 하지만 공룡에 대한 의문은 여전할 뿐이다.이 같은 의문을
조금
이라도 풀어줄 '세계 공룡대전'이 국내에 유치됐다. 이미 미국 보스턴과 푸에르토리코, 대만에서 1백만명 이상의 관람객을 동원한 바 있는 이 행사는 오는 12월 20일부터 내년 2월 12일까지 총 55일간 한국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고통을 주고 환자 몸에 상당한 해를 끼친다. 그러나 방사광 X선을 이용하면 조영제를
조금
만 집어넣어도 콘트라스트가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어 의학계에서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세계의 유명 방사광가속기가장 최근에 완성된 최고(3세대) 최대 규모의 방사광가속기는 유럽의 ESRF다. 프랑스 ... ...
빌 게이츠 신화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전세계 젊은 컴퓨터 공학도들의 우상 빌 게이츠. 머리 하나만으로 '황금밭'을 일군 신화의 주인공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그 ... 출간이 불러온 이 관심은 때마침 '시카고'란 코드명으로 불리던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의 모습이
조금
씩 드러나면서 더욱 고조되는 모습이다 ... ...
2. 21세기 충격 예견-발간 앞둔 '미래로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미래는 어떤 의미일까. 출간 전부터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빌 게이츠의 저작물이
조금
씩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정보고속도로 건설의 당위성과 건설 이후의 변화된 인간생활을 예리한 통찰력으로 살핀 이 책은 정보고속도로 건설의 지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의 내용을 미리 살펴본다.2 ... ...
화학 - 플라스크 속 황금빛 눈보라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실험① 플라스크에 물을 넣고 가열한다.② 물이 끓기 시작하면 요오드화납을 플라스크에
조금
씩 넣어 녹인다. 이때 요오드화납이 더 이상 녹지 않을 때까지 계속 넣어 주며 녹인다.만일 요오드화납을 구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질산납 수용액과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을 구해 두 용액을 섞어 주면 ...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윈도우 3. 1의 후속편 '시카고'의 최종 베타판이 나오면서 소문만 무성하던 이 운영체계의 모습이
조금
씩 드러나고 있다. 완벽을 요구하는 ... 지원이 필요하겠지만 그간 도스와 윈도스에서 만족하지 못한 사용자들이라면
조금
더 참고 기다릴 만한 멋진 동료가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 ...
5. 동성애, 생물학적 근거 있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취향의 문제인가.인간도 종족보존의 본능에 의해 움직이며 그 중에서도 자신의 유전자를
조금
이라도 더 남기려는 이기적 작용에 의해 끌려 다닌다고 한다면, 생식과 상관이 없는 성의 대명사인 동성애는 왜 있는 걸까.동성애에 대한 관심은 사실 우리나라보다는 서양에서 더 높은 듯하다. 유교적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데 필요한 것은 지구의 둘레, 또는 반지름 뿐이었다. 이에 관한 지식은 시대마다
조금
씩 발전했다. 소수 연구가 에라토스테네스지구 둘레는 6만4천㎞, 또는 4만8천㎞등의 여러가지 계산 결과가 있었다. 이런 수치에 대해서 정확한 방법으로 가장 믿을 만한 수치를 제시한 사람은 소수의 연구가로 ... ...
이전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