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않고 새로운 에너지의 도입 없이 가속팽창도 잘 예측한다. 단 하나, 중력이 관측 결과보다 강해지는 문제가 있다. 필자가 이를 증명했으며, 현재 수정하는 중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Intro. 빅뱅마불게임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 중간에 틈이 없이 연속적으로 설치(C), 11개 설치(D), 10개 설치(E)했다고 가정했습니다.그 결과 대피 상황에서의 ‘골든 타임’이라고 불리는 초반의 대피 효율이 눈에 띄게 향상됐습니다. 초기 1분 동안 효율이 가장 많이 향상된 경우는 차벽을 촘촘하게 10개 설치하되, 광장의 양 끝 단에는 차벽을 ... ...
- [Photo] 탄자나이트(Tanzanite) 떠오르는 탄자니아의 희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각판 밑으로 파고 들어가는 해양판에 의한 극심한 변성 작용으로 온도가 매우 높다. 그 결과 발색 원소들이 기존 암석과 화학적으로 결합해 새로운 보석 광물이 탄생한다. 사진 속 탄자나이트도 바나듐의 영향으로 푸른색을 띠게 됐다.가난과 영양 부족에서 벗어날 새로운 희망탄자니아는 ... ...
- [Origin] 거절 못하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응했을까.연구팀은 10명에 한 명꼴로 부탁을 들어줄 거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실험 결과 3명 중 한 명 꼴로 응했다. 학생들은 ‘이런 행동은 옳지 않다’거나 ‘나중에 잘못될까봐 두렵다’고 느끼면서도, 단지 부탁을 받았다는 이유로 책에 낙서를 했다(doi: 10.1177/0146167213511825). 권위 있는 사람도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결국 인간 지성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봉착했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그 고민의 결과물입니다. 저희의 결론은, 여전히 미래사회는 인간을 필요로 할 것이라는 점입니다.”의미 있는 시도지만, 심미적 경험을 얻기엔 무리가있다. 실제로 기자간담회에서 “예술인지 잘 모르겠다”며 ... ...
- [과학뉴스] 침 흘리는 불곰, 땡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지역에서 불곰이 먹고 버린 연어 몸뚱이 시체 156마리를 모아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86마리에서 불곰의 유전자를 발견했답니다. 불곰이 물어뜯은 연어에 스며들어 있는 불곰의 침에서 유전자가 나온 거예요.이전까지는 불곰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불곰을 직접 조사하거나, 자연에서 불곰의 ... ...
- 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적정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아니라, 직접 사용할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용도에 맞게 맞춤제작을 했답니다. 그 결과 물 펌프, 탈곡기, 믹서기 등 정말 다양한 형태의 마야페달이 만들어졌어요.‘소켓볼’이라는 축구공도 인간동력을 이용한 적정기술의 성공 사례로 손꼽혀요. 소켓볼 속에는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 ...
- [과학뉴스] 명왕성 아래 바다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지표면 아래 거대한 바다가 숨어 있을 수도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어요.인류 최초의 명왕성 탐사선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뉴호라이즌스호’는 2006년 지구에서 출발해 지난해 7월 명왕성을 통과했어요. 그리고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이때 얻은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가장 빠르다고 알려진 동물은 시속 110km로 나는 ‘유럽칼새’였어요.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수평속도가 가장 빠른 동물이 브라질큰귀 박쥐로 바뀌었지요. 과학자들은 네 속도를 어떻게 알아낸 거야? 저는 바람을 이용해 날아다녀요. 바람이 뒤에서 불어올 때는 속도를 줄여 바람에 몸을 맡기고,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14종의 개구리가 종별로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울음 소리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세 팀은 이 자료로 2016 국립생태원 생태·환경(동아리) 탐구 발표대회에 나가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어요. 지사탐 대원들의 활약이 정말 눈부시죠?장이권 교수님은 “대원들의 연구 내용이 ... ...
이전4954964974984995005015025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