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30곳에 있는 망원경과 레이더의 정보를 모아 2만 개의 우주물체 궤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전세계에 제공하고 있어요. 국제우주정거장(ISS)도 이를 이용해 충돌 사고를 피하지요.‘한국천문연구원’도 ‘아울넷(OWL-Net)으로 우주를 감시해요. 한국, 몽골, 이스라엘, 모로코, 미국 등 5군데에 설치된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신종은 바로 나!세계 각지의 많은 과학자들은 지금도 신종 찾기에 도전하고 있어요. 그 결과 사람이 들어가기 어려운 지역이나 아주 작은 서식지에서 갖가지 동식물과 미생물이 발견되고 있지요.이렇게 발견된 신종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미국 애리조나대 국제종탐사연구소(IISE ... ...
-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분류한 자료에서 가장 오래된 원시태양계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주변의 별과 비교한 결과 이 원시태양계가 4500만 년 전 생겼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예요. 이전까지 원시태양계가 수백만 년 안에 사라진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발견으로 기존 이론이 뒤집혔어요.이번에 발견된 원시태양계는 ... ...
- [과학뉴스] 18년간 바다를 감시한 로봇 홍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수집한 자료로 기후 변화의 영향이 지역별로 다르다는 것을 알아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각 지역에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2. 작고 무시무시한 우주쓰레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조사를 펼친 결과, 센티넬-1A가 우주물체와 충돌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조사 결과에 의하면, 1mm 정도 크기의 작은 우주물체가 센티넬-1A의 태양 전지판에 충돌했다고 해요. 충돌의 영향으로 태양 전지판에는 크기 40cm의 상처가 생겼지요. 물체의 크기와 피해의 규모를 통해 추정한 우주물체의 ... ...
- [과학뉴스]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300마리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용액을 주사해 위 내용물을 스스로 토해내게 했어요. 그 결과 이 토사물에서 총 44종류의 개미를 확인했지요. 또 새로운 종인 ‘레노밀멕스 호엘도프레리’ 개미도 발견했답니다(위 사진). 이 개미는 몸길이가 0.7cm 정도이고, 길고 큰 주둥이로 흰개미 같은 작은 먹이를 ...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위 그림 ➊의 A와 B의 색깔을 주의 깊게 보세요. A보다 B가 밝게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그림 ➋를 보면 실제로 A와 B의 색깔은 완전히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이런 것 ... 계속 보시려면?INTRO. 거꾸로 보면 작아 보인다?!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전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우리 안경원숭이의 ‘트랜스포존’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그결과 안경원숭이가 원원류보다 인간에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져 화제가 되고 있답니다. 우와! 그럼 인간에 더 가깝다는 거야? ‘점프하는 유전자’라고도 불리는 ‘트랜스포존’ 유전자는 원래 자리에서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똑같은 물건인데도 크기나 거리가 달라 보이고, 오른팔과 왼팔의 감각이 헷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비밀은 여러 감각이 받아들인 정보가 합쳐지는 ‘감각통합’에 있답니다.➊ ... INTRO. 거꾸로 보면 작아 보인다?!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열쇠가 된다고? 생체 인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사람이 복제하기 힘들고, 특정 사람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그 결과 생체 인식 기술이 등장했답니다. 생체 인식 기술은 지문과 홍채, 걸음걸이 등 사용자가 가진 신체나, 행동의 특징을 열쇠로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암호, 경우의 수가 많을수록 안전하다!생체 인식 기술이 ... ...
이전4974984995005015025035045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