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d라이브러리
"
세균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물속에만 살았던 생물이 육지로 올라왔다. 과학자들은 진핵생물(시아노박테리아와
세균
을 제외한 생물)이 시아노박테리아를 흡수하면서 이들도 광합성을 하게 됐다고 설명하지만, 지금까지 구체적인 증거를 찾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진핵생물인 회조류가 시아노박테리아와 같은 유전자를 ... ...
개발도상국 환경 문제 해결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만들어 현지에서 자체 생산이 가능하다. 점토는 구웠을 때 작은 공극이 생겨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내는데, 왕겨를 섞으면 효과가 더 커진다. 여기에 양전하를 띤 홍토와 점철석을 섞어 넣으면 물에 섞인 바이러스도 제거된다.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이 정도만으로도 정수 효과는 놀라울 정도로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석영, 또는 모래가 깔린 여과장치에 천천히 거른다. 호수의 물은 오존을 넣어 유해
세균
과 바이러스, 플랑크톤을 없애고 활성탄 여과장치에 걸러 기름과 세척제 찌꺼기를 걸러낸다.평형여과장치에서는 물속으로 공기방울이 퐁퐁 솟아나 산소가 물을 자연스럽게 정화한다. 그런데 특별한 점은 염소를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들어 보자.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플라스미드에 넣고
세균
에서 배양한다. 배양한
세균
에서 얻은 단백질을 펩타이드 형태로 만들어 몸 속에 넣는 것이다. 체내에 들어간 펩타이드는 항원제시세포(APC)에 의해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 위에 올려진다. 이를 T세포 수용체가 인지하고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용해 번식한답니다.
세균
의 몸 속에 DNA를 넣은 뒤 복제된 바이러스가 밖으로 나오면서
세균
을 죽이게 돼요. 인류 최대의 적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HIV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매년 약 2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어요. HIV는 우리 몸에서 병원균을 제거하는 T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어플라이드머티리얼’지에 최근 발표한 섬유 소재는 햇볕에 널어 두면 스스로
세균
이나 얼룩을 없애고 깨끗해진다.연구진이 발표한 새로운 섬유는 자외선만이 아니라 가시광선에도 반응한다. 기존에 개발된 ‘자가 세척 섬유’는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하며 태양광 중 극히 일부분인 자외선만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수많은 사람의 목숨이 위험해질 수 있다.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병을 일으키는
세균
, 바이러스의 DNA나 RNA를 검출하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 황당맨은 DNA를 이용해 병원체를 빨리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김봉수 KAIST 화학과 교수를 만났다.김 교수팀은 ‘표면 증강 ... ...
인공눈, 누가 만들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연구 결과는 1976년 ‘네이처’에 실렸다.슈도모나스 시링가이의 아종 중 독성이 없는
세균
의 단백질을 동결건조해 인공눈 첨가제를 만들었다. 이 단백질 첨가제를 넣으면 인공눈 생산량이 50% 정도 늘어난다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공기가 없이도 자랄 수 있는
세균
이 자랍니다. 강원도메주는 쪼갰을 때 곰팡이와
세균
이 3개 층으로 나뉜 것이 대표적인 특징입니다.”그렇다면 전라도나 제주도처럼 비교적 따뜻한 곳은 강원도와 정반대 특징을 보이겠네요?“전라도는 따뜻한 지역이기 때문에 메주를 처마에 매달아 놨을 때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실시간으로
세균
의 수를 셀 수 있는 광센서를 만들었다. 이를 이용하면 더 이상 사람이
세균
의 수를 하나씩 세지 않아도 된다. 실험오차를 줄일 수도 있다.광센서가 실험실을 넘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면 더욱 진가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식당이나 급식시설에 광센서를 설치하면 식재료를 다듬는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