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d라이브러리
"
세균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호초의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양을 측정해 비교하는 방식으로 산호초와 조류가 생산하는 유기물과 산호초에 있는
세균
이 소비하는 유기물의 균형이 맞는지 감시했다.랭던 교수는 “지금까지는 노동집약적인 방식으로 산소의 변화를 추적했지만 새로운 방법은 무인으로 장기간 산호초의 광합성과 호흡량을 감시할 수 있다”고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됐어요. 또한 최근 구제역 확산으로 농가들의 피해가 큰데, 사람에게 유익한 광합성
세균
이나 유산균 등을 뜻하는 유용 미생물로 가축 매몰지역의 악취를 애고 2차 오염을 막기도 합니다.눈에 보이지도 않는 미생물이 극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을 보면,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형질전환 물질’이 R형을 S형으로 바꿨음을 알아냈다(). 이 실험을 보고 미국의
세균
학자 에이버리는 S형 폐렴균을 분리해 얻은 성분을 하나씩 R형 폐렴균에 넣는 실험을 했다. 그중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후 1953년 영국의 왓슨과 크릭이 윌킨스와 함께 DNA의 이중나선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 있다. 또 살모넬라 균은 육류에서 자주 발견되는
세균
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세균
뿐 아니라 질소성분도 문제다. 몸을 구성하던 대부분의 단백질은 죽은 뒤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다량의 질산성 질소 물질과 암모니아성 질소 물질을 만든다. 침출수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이들이 보통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울여 보았다. 예상대로 미세교세포도 말을 할 줄 알았다. 그러나 미세교세포는 주로
세균
이나 바이러스가 뇌 속에 침투했을 때처럼 위급한 상황에서만 입을 열었다.이렇게 입조심을 하는 이유는 미세교세포의 말이 통증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면역세포의 말이 통증을 일으킨다. 통증은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웃음은 NK세포와 인터루킨6 같은 면역물질을 활성화시켜
세균
이나 바이러스의 공격을 막을 수 있습니다. 신종플루를 예방하기 위한 최고의 백신은 바로 웃음입니다.”웃음을 다룬 논문은 많지만 책으로 펴낸 경우는 외국에서도 드물다. 실제로 해외에도 두 권의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것이 습도다. 따뜻하고 축축한 곳에서는 집먼지진드기, 곰팡이를 비롯한 각종 벌레와
세균
이 번식해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곰팡이는 대개 욕실이나 냉장고 아래, 세탁기 뒷면 등에 잘 생긴다. 추운 날 실내외 온도 차이로 유리창에 이슬이 생기거나(결로) 세면대나 싱크대처럼 오랫동안 물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옷을 빨았다. 뜨거운 물을 공급해 병사들이 깨끗이 씻을 수 있게 만들었다. 당시는
세균
이 질병의 원인이라는 생각이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나이팅게일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질병은 더럽고 바람이 통하지 않는 병실이나 방에서 자연스럽게 생긴다고 믿었다. 그래서 나이팅게일은 좋은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많이 이뤄지는 것이 보톡스와 필러 주입이다.보톡스는 부패된 음식에서 검출되는 혐기성
세균
인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이 만드는 신경독소(보툴리눔 톡신)를 정제해 만든다. 국내에서는 보툴리눔 톡신이라는 명칭대신 미국 앨러간사에서 만든 제품명 보톡스를 일반적으로 쓴다. ... ...
사람의 체온이 36.5℃인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사람의 체온이 36.5℃인 이유가 밝혀졌어요. 미국 아인슈타인의과대학교 아르투로 카사데발 교수는
세균
의 감염은 막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는 ... 써요. 이에 대해 카사테발 교수는, 포유류는 체온이 높아서 에너지를 더 쓰지만 그 만큼
세균
감염을 잘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