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d라이브러리
"
세균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세균
도 있다. 많은 고
세균
은 극단적인 환경(고온, 고농도 염분)에서 발견된다. 병원성 고
세균
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진핵생물은 원생생물이나 진균류로 분류된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다. 원생생물 중 식물성 플랑크톤은 시아노박테리아와 함께 지구 산소의 75%를 만들어낸다. 이들은 또한 물속 ... ...
사람의 체온이 36.5℃인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사람의 체온이 36.5℃인 이유가 밝혀졌어요. 미국 아인슈타인의과대학교 아르투로 카사데발 교수는
세균
의 감염은 막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는 ... 써요. 이에 대해 카사테발 교수는, 포유류는 체온이 높아서 에너지를 더 쓰지만 그 만큼
세균
감염을 잘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버블을 포화시킨 물로 사과를 3분간 세척하면 효모와 곰팡이 균을 95% 없앨 수 있다.
세균
역시 95% 제거됐다.조미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연구사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는 기존 세척 라인에 맞춰 개발돼 있다”며 “이 기계를 붙이기만 하면 간단히 세척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 ...
벼 병충해 막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붙였다”고 설명했다.첸 연구원은 “지금까지 식물 병리 연구는 뿌리를 통해 감염되는
세균
을 막는 것에 치중해 있었다”며 “이번 연구가 식물 병리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팜으로써 식물에게 필요한 공기와 물을 제공하는 셈이다. 토양의 먹이그물은 죽어서도
세균
과 균류에 분해되면서 땅을 비옥하게 만든다.농약과 비료에 죽어가는 흙 저자들은 오늘날 농약과 화학비료를 너무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흙이 죽어가고 있다고 비판한다. 농약은 해충만 죽이는 것이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전문가들은 “일반인들은 손을 자주 씻고 의료 기구에 접촉할 때는 조심하는 것이 슈퍼
세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일이자 중요한 대책”이라고 조언했다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하지만 작년 5월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의 연구팀은
세균
의 게놈을 합성한 뒤 다른
세균
의 몸통만 빌려 합성생물체를 처음 만들었다. 과거에 없던 인공생명을 만들어 낸 것이다. 프로그램과 인간을 오가는 일도 현실이 될지 모를 일이다. 과거에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198 ... ...
사이언스, 21세기 10년간 ‘10대 연구’ 선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만들어 원하는 세포를 생산’할 수 있게 된 점을, 의학분야에선 ‘몸속 유익한
세균
과 장기의 공생 사실을 밝혀낸 사실’과 ‘대식세포가 만성질환과 염증반응의 항원을 먹어치우는 선척선 면역기능을 하는 점’을 중요 성과로 꼽았다. ‘태양계 밖에서 외계행성을 479개 추가로 더 찾아낸 사실’과 ... ...
박테리아 잡는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사용한 박테리아는 녹농균과 황색포도상구균으로 피부와 상처에 감염을 일으키는 흔한
세균
이다. 이들은 집단으로 모여 ‘바이오필름’이라는 보호막을 만들기 때문에 항생제가 듣지 않을 때가 있다. 하지만 아르곤 원자를 이용한 플라스마를 쏘여 주자 10분 동안에 90%의 박테리아가 죽었다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분리해 내는 효소로 쓸 수도 있다. 2008년 북극에서 발견한 ‘클라미도모나스’라는
세균
은 바이오디젤과 식품을 만드는 용도로 개발하고 있다.한편 아라온 호는 지난해 7~8월 동안 이어진 첫 북극탐사에서도 식물 플랑크톤을 채취하는 데 성공했다. 바다와 맞닿아 있는 빙하에 최대 4m 깊이까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