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체염색체
인체
d라이브러리
"
염색체
"(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난의 시대, 역사 속의 여성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일명'튀는 유전자'(jumping genes)를 발견한 사람이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유전자들은
염색체
내에서 위치가 바뀔 수 있으며, 주위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20년 뒤에나 입증이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당시로는 획기적인 연구결과였다.고등교육 받기 위해 허위 결혼까지이처럼 소수이기는 하지만 여성의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운 증후군이라는 현상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었다 할지라도
염색체
수 이상이라는 개념만 잘 알고 있으면 답을 고를 수 있다. 또다른 문제를 보도록 하자. ▶ 혈액형과 관련된 항원-항체 반응을 설명할 때, 예를 들어 ‘A형은 A라는 응집원을 갖고 있기 때문에 A형이라고 ... ...
ㅣ인간복제 반대ㅣ 인간존엄성 정면 도전하는 인간복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생기는 문제의 한 예가 텔로미어다. 텔로미어는 노화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믿어지는
염색체
의 끝부분으로 체세포가 분열하면서 길이가 점점 줄어든다. 즉 나이가 든 개체를 복제할 경우, 원본의 텔로미어 길이가 짧기 때문에 이를 복제한 개체도 텔로미어가 비정상적으로 짧다.텔로미어의 길이가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서열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부위를 말한다. 전체
염색체
위에 약 5-10만 곳에 존재하는데,
염색체
상에 비교적 고르게 산재돼 있다. 그런데 같은 장소의 초위성체라도 개체나 품종에 따라 반복횟수의 차이가 나 반복염기서열의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초위성체 염기서열을 PCR(중합효소 연쇄반응)법으로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22번의 BCR에 결합되면 ABL과 BCR이 결합된 비정상적인 필라델피아
염색체
가 생긴다. 이
염색체
의 BCR-ABL 부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이 바로 BCR-ABL 타이로신 활성화효소다.BCR-ABL 효소는 조혈모세포 내의 타이로신, 그리고 세포 내 에너지 공급원 역할을 하는 ATP와 반응해 타이로신 복합체를 만든다. 이 ... ...
언어 능력 담당하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같은 형태의 언어장애를 갖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아동은 7번
염색체
의 한 부분이 5번
염색체
와 바뀐 이른바 ‘전좌’(translocation)라는 DNA 돌연변이를 갖고 있었다. 연구팀의 조사 결과 전좌가 일어나는 분기점은 FOXP2 유전자의 한가운데 있었다.정상유전자와 염기 하나만 다를 뿐연구팀은 3년 전에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기술에 힘입은 바 크다. 과거에는 유전질환(유전자의 결함으로 기인된 질환)을
염색체
의 수에 이상이 있거나 멘델의 법칙에 따라 후손에게 형질이 전해지는 희귀질병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암이나 심장 혈관질환과 같은 병의 발생 원인에도 유전자의 변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시기(G1기)를 거쳐 유전정보를 포함하는
염색체
를 복제하고(S기) 성장한 후(G2기) 복제된
염색체
와 세포질을 둘로 분리해(M기) 두개의 세포로 나눠진다. 정상적인 세포의 성장과 분열은 이 단계가 순차적으로 조화롭게 이뤄져야만 가능하다.세포분열의 ‘엔진’과 ‘기어’지난 30년 간의 세포분열 ... ...
인간 장수유전자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마커를 이용해 그들의 DNA에만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 부위를 찾았다. 그 결과 4번
염색체
에서 그들만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장수’유전자 부위가 발견됐다.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실험실에서 동물 수명을 연장하는 단일 유전자를 밝혀낸 적이 있을 뿐이었다. 인간게놈 전체를 대상으로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폭력성향을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XYY
염색체
를 가진 사람들이 더 폭력적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만약 폭력과 범죄가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성향에 영향을 받는다면, 과연 우리는 범죄자들에게 법적 처벌을 가할 수 있을까.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