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염색체"(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이 중에서 중복된 것을 제외하면 1백80만건이 된다. Ensembl에는 이들 SNP가 인간 유전체 염색체의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표시돼 있다. 유전자의 활성이나 발현에 영향을 주는 곳에 SNP가 있으면 이는 기능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의 SNP 프로파일을 환자와 ...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유전자 26개 중 19개는 X염색체에도 있는 유전자다. 결국 7개 유전자만이 독특하다.X와 Y 염색체의 길이와 유전자 수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Y염색체는 남성이 되도록 결정하는 주인공이다. 즉 길이도 짧은 이 Y염색체가 갖는 겨우 수십개의 유전자가 남성을 만드는 일을 전부 담당한다는 얘기다. ... ...
- 1. 몸은 남성 마음은 여성과학동아 l2001년 08호
- 발육이 전혀 없거나 불량하며, 유방·자궁 및 질 등의 성기 발육이 저조하다. 가끔 성염색체의 구성이 XXX, XXXX, XXYY, XXXY 등의 모자이크를 보이는 사람들도 있다. 이렇게 성확정이 안된 경우 보통은 수술을 통해 한쪽 성을 갖도록 확정해준다. 이들에 대한 성확정수술은 3-4세 이전에 시행하는 것이 ... ...
- 4. 육체와 잘못 짝지어진 성 소년은 울지 않는다과학동아 l2001년 08호
- 작품. 일곱살 소년 루도빅은 자신이 원래 XX 염색체를 가진 여자였으나, 하나님이 실수로 X염색체 하나를 쓰레기통에 빠뜨려 남자로 태어났다고 믿는다. 어린 꼬마는 파티에 여장을 하고 나타나는가 하면, 남자친구 제롬과 결혼식 놀이를 하다가 들키고, 학예회에서는 제롬과 키스하기 위해 백설공주 ... ...
- '아프리카 기원설' 손들어준 Y 염색체 연구과학동아 l2001년 06호
- 단일한 조상, 즉 아프리카에서 살던 원시고대인류로부터 기원했음을 의미한다. 이번 Y염색체 분석 결과, 아프리카 기원설은 현재 진행중인 3라운드에서 보다 유리한 고지를 한동안 차지할 듯 싶다 ...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과학동아 l2001년 04호
- : 생물체 개개의 유전 형질을 나타내는 원인이 되는 인자.게 놈 : 생명이 갖고 있는 염색체 또는 유전자의 총합. 즉 전체 유전정보를 뜻한다.인간게놈프로젝트 : 인간이 갖고 있는 유전자의 염기쌍 배열 전체를 밝혀내기 위한 프로젝트.AGTC : DNA의 구성요소인 A(아데닌), G(구아닌), T(티민), C(시토신) ... ...
- ① 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장 유향숙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위해 슈퍼컴퓨터를 이용하는 데에 무척 놀랐다. 반면 일본 게놈센터에서는 당시 21번 염색체의 게놈을 분석중이었는데 셀레라에 비해 소규모(그래도 염기서열 자동분석장치가 20-30대 정도)였지만 나름대로 염기서열 분석을 잘하고 있는 모습도 만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유단장은 우리도 최소한의 ...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밝힌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게놈 골격을 짜맞추고 있다. 앞으로 참여국들은 할당된 염색체를 분석하는 대신 짜맞춰진 골격 중 염기서열 정보가 비어 있는 부분을 메꾸는 작업을 하게 된다.컨소시엄의 한국 대표인 농업과학기술원 은무영 박사는 “앞으로 2백-3백만개의 염기쌍을 더 분석할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발견됐다.1968년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세포화학자 토비언 캐스퍼슨과 로어 첵은 염색체를 구별하는 핵형분석법(karyo typing)을 발명했다. 유전자 지도 작성이 가능해졌다.1969년 미국 존스홉킨스대의 다니엘 네이선스는 제한효소를 바이러스에 최초로 도입됐다.1970년 미국 존스홉킨스대의 헤밀턴 ...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대해서 늦어도 2003년까지는 끝낼 계획이다.염기서열이 완전히 밝혀진 21번과 22번 염색체의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염기서열만으로는 유전자를 완전히 확인하기 어렵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놈지도가 완성된 상태에서도 유전자수를 2만6천개에서 4만개 사이로 추측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