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체염색체
인체
d라이브러리
"
염색체
"(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한편 여성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일이 실현될지도 모른다. 즉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줄지 않은 제1난모세포를 쥐의 난소 세포 속에서 길러 성숙한 난자로 발생시킨다는 의미다. 현재 생쥐를 대상으로 이런 실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쥐의 ... ...
③ 꼬리없는 정자로 임신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난자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염색체
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야 한다. 정자의 형성에서 23개
염색체
를 가지기 시작하는 단계는 제2정모세포부터이며, 국내에서 시술에 성공한 원형정세포는 정자와 가장 가깝게 분화된 상태다.이처럼 원형정세포를 난자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을 ROSI(ROund Spermatid Injection ... ...
진시황의 불로초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전기를 맞았다. 인간의 세포는 평생동안 50-1백번 분열한다.
염색체
의 양쪽 끝 부분에는
염색체
를 보호하는 뚜껑 구실을 하는 텔로미어라는 것이 붙어있다. 이것은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조금씩 닳아 없어진다. 텔로미어가 어느 한도 이상 짧아지면 세포는 분열을 멈추고 노화가 시작된다. 텔로미어는 ... ...
② 인간 생명은 언제 시작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염색체
수가 정상인보다 하나 더 많은 경우 생존의 확률은 어느 정도 있다. 예를 들어 21번
염색체
가 하나 더 많은 다운증후군의 경우 유산될 확률은 78%다. 22%의 확률로 태어난 아이는 지능이 낮고 특이한 얼굴 모양을 갖춘 채 살아야 한다. 심장의 기능이 불완전한 경우도 적지 않다. 평균 수명은 40세 ... ...
1. 관상 어디까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유전자와 관련돼 있을 개연성은 있다. 아주대 해부학교실의 정민석 교수에 따르면, 21번
염색체
가 1개 부족할 때 나타나는 다운증후군의 경우 원숭이 손금이라는 특정한 손금이 나타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한다. 그런 미간이 좁은 사람들은 성격이 날카롭고, 이들은 공격적인 유전자를 가졌기 ... ...
'토리노의 수의' 새로운 논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여운을 남겼다.가르자는 미국 텍사스 건강과학센터 연구진이 수의의 붉은 얼룩에서 XY
염색체
를 검출했으며, 혈흔이 유태인들에게 흔한 AB형 혈액형임을 밝혀냈다고 기술한다. 그는 또 "혈흔은 수의의 주인이 예수임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증거이며, 1세기에는 십자가에 못박히거나 가시관을 쓰거나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경우 5백km 이하에서 날아다니는 반알렌대의 방사선에 피폭될 수 있다.방사선이란 생물의
염색체
를 파괴하는 무서운 소립자들이다. 대부분은 지구대기 때문에 지표면까 지 도달하지 못하지만, 우주선을 타고 지구밖으로 나가면 크게 인간을 위협한다. 우주왕복선 내의 승무원들은 지상에 있는 ... ...
여자는 방향감각이 둔하다?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했다. 그러나 생물학적으로는 여자로부터 남자가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다. XY의 성
염색체
를 가지고 있어도 안드로겐 샤워를 받지 못하면 뇌의 성분화는 커녕 남성 생식기도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여성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여성으로서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여자는 기본형이고 남자는 여자의 ... ...
파란 장미가 생긴다.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페튜니아의 청색 색소 유전인자 부분을 잘라내 장미 유전자와 합성한다. 합성한 색소
염색체
는 토양균의 체내에서 자라게 되고 이 균을 장미의 뿌리에 이식시키면 장미는 파란색 꽃을 피운다.이런 방법으로 과학자들은 최근 페튜니아에서 청색 색소를 결정짓는 플라보노이드 유전인자를 뽑아내는데 ... ...
DNA는 생물 블랙박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개인의 유전적 특성 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와 비슷하게 사람의 유전체 중
염색체
6번에 위치한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의 유전자들이 인종구별, 개인식별, 골수이식 대상선정 등에 사용된다. MHC 유전자 분석결과도 인류가 크게 두 부류로 나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미토콘드리아의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