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벨
탁령
물방울
거품
포말
기포
초인종
뉴스
"
방울
"(으)로 총 53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표면장력이 큰 물
방울
이 스미지 못하고 겉돌다 떨어져나간다. 반면 표면장력이 작은 기름
방울
은 묻을 수 있다(왼쪽). 반면 다공성 물질에 액체가 코팅된 벌레잡이풀 잎둘레를 모방한 표면은 액체가 물과 기름 모두에 섞이지 않을 경우 둘 다 떨어져 나간다(오른쪽). - 네이처 제공 지난 2004년 학술지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현미경으로 보면 젖과 비슷한 모습이라는 말이다. 단지 기름의 비율이 더 높아 기름
방울
이 더 크고 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원료들이 이것저것 들어가다 보니 더 걸쭉할 뿐이다. 사실 우유뿐 아니라 많은 식품이 유화 상태로 존재한다. 우유는 원래부터 그런 상태이지만 대부분의 가공식품은 ... ...
보글보글 공기
방울
에서 전기 만들었다
2015.03.03
수조 주위에 코일을 감은 후 공기펌프를 이용해 공기
방울
을 집어넣었다. 그 결과 공기
방울
때문에 자기유체가 움직이며 주변의 자기장이 바뀌고 그 영향으로 전기가 생산됐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는 3~5mL의 소량의 자기유체에서 발전을 했기 때문에 발전량이 많지 않았지만 1L 규모에서는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여러 다른 입자들과 부딪히며 카오스적으로 운동한다. 마치 물에 떨어진 잉크
방울
의 확산운동과 비슷하다. 하지만 양자역학에는 카오스가 없어서 전자가 확산하지 못하고 공간적으로 묶여버릴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체가 부도체로 바뀐다. 이를 앤더슨 국소화(局所化)라고 하는데, 이 이론으로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기
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
2015.02.08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일자에 실렸다. 나노공기
방울
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액체 사이를 기체가 직접 이동하는 '직접 가스 전달' 과정이 규명됐다. - 교 제공 ... ...
치아 건강 망치는 음식, “매일 섭취하는 식품 중… 대반전!”
동아닷컴
l
2015.01.28
끼칠 수 있다. 식초(산)가 든 음식이기 때문이다. 냉면·냉국을 먹을 때는 식초를 한두
방울
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면 음식은 꼭꼭 씹지 않으면 침 분비가 줄어들어 치아 건강 망치는 음식에 속한다. 쓴맛을 내는 맥주도 치아 건강을 망치는 음식일 수 있다. 맥주의 원재료인 보리를 ... ...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수 있는 기술 개발 과제를 제출했죠.” 실제 조 교수는 2007년 삼성전자 재직 당시 피 한
방울
로 각종 암과 류머티스 등 스물한 가지 병을 검진하는 소형 혈액검사기 개발에 참여하기도 했다. 앞으로의 목표를 물었다. 그녀는 “암 진단과 관련된 진단기기 개발에 관심을 갖고 몰두하고 있어요. ... ...
항생제도 안 듣는 헬리코박터균, 나노입자로 잡는다
2014.11.26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연구팀은 식물성 기름인 리놀릭산(Linoleic acid)
방울
을 세포막의 주요 성분인 인지질과 콜레스테롤로 둘러싸 지름 100nm 나노입자인 ‘리포LLA’를 만들었다. 리포LLA의 모습.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세포막과 결합한다. - PNAS 제공 연구팀이 개발한 ... ...
생활 속으로 들어온 IT 기술
2014.11.10
실험을 선보인 일도 기억에 남는다”고 밝혔다. 또 대전서중은 물 위에 매니큐어를 한
방울
씩 떨어뜨리고 이때 생긴 표면장력으로 나타난 마블링을 그대로 손톱에 얹어 꾸며주는 네일 아트로 눈길을 끌었다 ... ...
피 한
방울
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2014.11.06
국내 연구진이 피 한
방울
로 간단히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김영수 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KIST 제공 김영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팀은 치매를 일으키는 단백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의 혈액 내 농도를 검사하는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