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d라이브러리
"
오차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05
분야 특성상 바다에서 데이터를 수집해와 지상에서 연구하다보니,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오차
가 크게 발생해도 다시 가서 구할 수가 없었다. 생물 시료의 경우 운반하는 과정에서 오염되는 일도 잦았다. 통신시스템이 갖춰지면 이런 문제가 단 번에 해결된다. ‘오른쪽으로 30cm만 더 이동해서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05
때문에 비를 구할 때 꼭 사람의 눈높이를 이용해야 합니다. 눈높이 대신 키를 이용한다면
오차
가 생길 수 있습니다.그럼 이제 실제로 나무와 사람 사이에 거울을 둬 아래 그림과 같은 상황을 만들어 봅시다. 거울을 둘 곳은 눈으로 거울을 봤을 때 나무 꼭대기가 보이는 지점입니다. 이 지점이 두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
수학동아
l
201604
궤도를 계산했지.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궤도의 모양을 미리 가정하고 계산했는데, 나는
오차
를 줄이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했어. 그리고 그 해 말, 내가 예측한 위치와 거의 같은 곳에서 세레스가 나타났지.”내각의 합이 270°인 삼각형“수학자인줄만 알았던 가우스 아저씨가 천문학에도 뛰어난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1604
서버를 활용해 3.08%까지
오차
율을 줄였다고 올해 2월 발표했다(arXiv:1602.07261). 이는 사람의
오차
율보다 적은 것으로 불과 4년만에 이뤄졌다고 믿기 어려운 성과다.하지만 컴퓨터 비전은 아직까지 사람이라면 하지 않을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종종 한다. 지난해에는 딥러닝 시대를 열었던 알렉스넷의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1604
ITER와 동일한 재질의 초전도 자석을 사용하고, 장치 제작의 정밀도가 뛰어나 자기장
오차
가 매우 낮다. 덕분에 난류를 제어하는 기술을 매우 정교하게 실험할 수 있다. KSTAR에는 난류의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진단장치가 적용됐다. 모든 연구들이 그렇지만 핵융합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04
친구도 있을 겁니다. 만약 충분히 먼 거리를 걸었다면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걷게 돼
오차
가 줄었을 겁니다. 걸음 수를 재는 만보기를 들고 걷는다면 걸음 수를 빼놓지 않고 셀 수 있으니 더 정확하게 거리를 잴 수 있을 겁니다. ‘거리’는 ‘속력’ 곱하기 ‘시간’이니까!제주중앙중학교 2학년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03
해당하나 왼발이 땅을 디딜 때는 21cm로 큰 차이를 보인다. 또한 CCTV 속 범인의 보폭도
오차
범위 ±1cm로 일치했다. …(중략) 병리학적 분석과 공학적 분석을 종합해 판단했을 때 용의자와 CCTV 속 사람은 동일인으로 보인다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
수학동아
l
201603
정신 똑바로 차리고 차량을 세는데 자꾸 친구들하고 다른 결과가 나오는 거예요.
오차
를 줄이기 위해 지나가는 차량을 계속 셌던 것 같아요. _옥민서(3학년)당찬 학생들이 고군분투한 결과 차가 많을 때는 분리신호가 효과적이라는 점과 도로의 최고 속도를 시속 약 10km 줄여도 이동시간은 2분밖에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03
대양으로 뻗어나가던 시기였다. 망망대해에서 항해사들은 달을 보고 위치를 계산했는데,
오차
가 있었다. 실제 달의 궤도엔 태양의 중력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줄타기를 하는 재주꾼이 좌우로 휘청거리듯,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며 태양의 영향을 받아 궤도가 조금씩 변한다. 이를 섭동이라고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01
계산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표준모형이 예측한 값과 실제 측정된 값의 차이가 측정
오차
의 3.6배에 달한다. 이는 표준모형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으로, 많은 물리학자들이 돌파구를 찾기 위해 표준모형을 포함하는 ‘초대칭모형’이나 ‘가벼운암흑광자이론’ 등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2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