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d라이브러리
"
오차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파킨슨병 조기검진, 스마트폰·컴퓨터만 있으면 OK
과학동아
l
201505
정상인은 눌렀다 뗄 때 걸리는 시간이 일정한 반면, 파킨슨병 환자는 0.1초 정도씩
오차
가 생겼다.비슷한 방법으로 미국 IT기업 애플에서도 지난 3월 파킨슨 병을 간단히 진단할 수 있는 앱을 발표했다. 앱을 실행해 엄지와 검지로 20초간 화면을 번갈아 두드리는 동작을 하면 그 패턴을 분석해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
수학동아
l
201505
기준으로 5달은 28일, 마지막 달은 27일이 된다. 이렇게 4번 반복되면 1년이다. 약간의
오차
는 2년에 한 번씩 윤년을 넣어 맞추기로 했다. 이렇게 우리는 화성의 달력을 만들었다.Part 3 압축이 답이다도시가 건강해야 문명이 산다세월이 흐르면 인구는 늘고 돔은 점점 비좁아질 것이다. 문명의 성장은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
과학동아
l
201504
세우거나 늦서리 피해를 적극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그러나 어떤 방법을 쓰든, 추정
오차
는 당분간 크게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후변화 때문에 기온 예측이 더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예상 기온은 개화 시기를 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다. 예상 기온이 틀리면 예상 개화일도 틀릴 수밖에 ... ...
[Knowledge] 길고 짧은 건 '단위'로 재봐야
과학동아
l
201504
표준원기로 공유하게 된다.약 200년이 지난 1960년까지 이 방식으로 1m를 정의했다. 측정
오차
가 약 100만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상당히 정확했다. 우리나라에도 프랑스에서 가져온 표준미터원기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고이 모셔져 있다. 우리나라는 1964년 1월 1일부터 국제 표준 단위인 미터법을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
수학동아
l
201503
속도가 빠를수록 프린터가 더 흔들리는 것도 문제죠. 작은 물체를 인쇄하는 경우 이런
오차
는 치명적이기에, 평소보다 느리게 인쇄해야 합니다.Q 3D 프린터로 사람에게 이식할 뼈도 만든다고 들었어요. 안전에는 문제가 없나요? 이경림(마산 호계중2)A 애초에 인체에 무해한 재료만 쓰기 때문에 ...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
수학동아
l
201502
가장 잘 맞는 수술 과정을 찾을 수 있는 것이죠. 또한 의사의 경험 차이에서 생기는
오차
를 줄일 수 있고, 수술을 미리 연습해 볼 수도 있습니다.재건 성형★ 환자의 신체 부위를 정상에 가까운 기능과 모양을 갖추도록 만들어 주는 성형 수술.구순구개열★ 입술이나 잇몸 또는 입천장이 갈라져 있는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
과학동아
l
201501
원자시계는 지상의 시계보다 빠르게 흐른다. GPS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간
오차
를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웹브라우저와 무선통신도 모두 상대성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다.Q. 현재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상대성이론에서 발전한 블랙홀과 중력장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01
쉽게 설명하면 우리 몸의 정상 RNA와도 결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기술의 현재
오차
율은 대략 10%입니다. 티케이엠-에볼라도 임상시험 1단계에서 부작용으로 중단된 상태입니다. 몇몇 환자가 발열증상을 호소했거든요. 개발사인 테크미라 파마슈티컬은 서아프리카 기니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1
것처럼 보이지요. 뒷배경이 어그러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져다 둔 모눈 종이는 한 치의
오차
도 없이 완벽하게 연결됐어요.물론 단점도 있어요. 볼록렌즈의 크기와 렌즈가 배열된 길이만큼만 투명 영역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 영역 외에 물체를 두면 투명 기능이 사라지거든요. 도넛 모양의 구역만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12
그가 정말로 케이스타의 현장 조립을 진두지휘한 주인공이라는 걸. 양 부장은 한치의
오차
도 없이 짜맞춰야 하는 복잡한 장비들을 무려 40개월에 걸쳐 현장에서 꼼꼼히 조립해 냈다. 조립설계 기간까지 합하면 4년 반이 걸린 대사업이었다. 그는 “혼자 한 것은 아니다”라고 손사래를 쳤지만,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