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봉
이동
선두
위치를 바꾸기
라인맨
모래주머니
선구
d라이브러리
"
전위
"(으)로 총 221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10
일어난다. 화학수용기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자극 분자가 결합함으로 막
전위
를 변화시킨다. 용질의 농도를 전반적으로 감지하는 수용기와 특정 분자에만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특수수용기가 있다. 전자기수용기는 가시광선, 전기, 자기력등 다양한 전자기에너지를 감지한다. ... ...
[물리]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1009
전기적 위치에너지로 표현되고 (+1C)이 갖는 전기적 위치에너지가
전위
입니다. 따라서
전위
차를 알면 전기력이 전하에 한 일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힘이 없는 경우 이 값은 전하의 운동에너지 변화량으로 나타납니다. 3) (0, 0) 지점에서 전자에 작용하는 알짜 힘은 0입니다. 그림에서처럼 전자가 x축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09
특유의 미소를 버리고 갖가지 표정을 짓는 패러디 광고까지다양하다. 20세기 프랑스의
전위
미술가 마르셀 뒤샹은 모나리자를 모사한 뒤 꼬부라진 콧수염을 그려 넣고 ‘그녀는 뜨거운 엉덩이를 가졌다(L.H.O.O.Q)’는 뜻의 낯 뜨거운 제목을 달기도 했다. 수많은 학자들은 모나리자의 연령대와 신분,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09
통해 맛 세포에 들어간다. 2가지 경로 모두 맛 세포를 자극시켜 맛 신호(맛을 전하는 활동
전위
신호)를 생성한다.맛 신호는 맛 신경을 타고 뇌까지 전해진다. 뇌에서는 최종적으로 달고 시고 쓰고 짜고 감칠 나는 맛을 인식한다.맛 조절물질이 뇌를 속이는 방법도 이 과정과 비슷하다. 우리 팀에서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09
이온의 불균등 분포는 칼륨 이온과 함께 휴지막
전위
를 만드는 원인중 하나다. 활동
전위
가 발생할 때는 나트륨 채널이 열리면서 세포 밖에서 세포 안으로 나트륨의 이동이 일어난다. DDT에 의해 나트륨 이온의 이동이 일어나지 못하면 나트륨 이온의 분포와 이동에 의존하는 신경세포의 신호전달이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08
뇌 조직을 올려놓으면 전기적인 활동을 관찰할 수 있다. 뇌의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뇌파
전위
기록 장치(뇌파계)를 초소형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쉽다. 이 칩을 이용하면 뇌 조직을 계속 살아 있는 상태로 유지하면서, 새로 개발한 뇌 질환 치료제가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관찰할 수 있을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08
박사의 부탁으로 좀비 실험을 시작했다. 1982년 그는 쥐와 레서스원숭이의 두뇌에 뇌파
전위
기록장치(뇌파계)를 연결하고 좀비 묘약을 먹였다. 죽은 것처럼 몸이 굳고 물질대사 능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뇌가 살아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실험 결과 쥐와 원숭이들은혼수상태에 빠졌고 어떤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04
정보전달자 스핀파에 주목하다“지금까지 반도체 소자에는 음전하를 띠는 전자가
전위
차에 의해 이동하는 전기적 특성만 주로 이용됐습니다. 하지만 전자는 스핀 특성을 갖는 일종의 작은 막대자석의 성질이 있습니다.”김 교수는 여기서 스핀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회전’이 아니라고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
과학동아
l
200911
만든다. 탐침은 재질을 알기 때문에 일함수를 알 수 있고 탐침과 원자 사이의
전위
차를 측정하면 원자가 가진 일함수도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표면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나노 단위만큼 미세하게 분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표면을 이루는 성분 가운데 가장 작은 단위인 원자는 지름이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0
죽을 수 있다. 글루타메이트는 시냅스 말단에서 분비돼 다른 신경세포에 활동
전위
를 일으켜 전기 신호를 전달한다. 원래 분비된 글루타메이트는 신경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 부위에 존재하는 성상교세포에 의해 빠르게 흡수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 문제가 생겨 글루타메이트가 흡수되지 않으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