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봉
이동
선두
위치를 바꾸기
라인맨
모래주머니
선구
뉴스
"
전위
"(으)로 총 93건 검색되었습니다.
충방전 1000회에도 멀쩡한 물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줄이고 물 분자 간 수소 결합 네트워크를 깨뜨리는 방식으로 배터리를 만들어 배터리의
전위
창을 1.23V에서 3.1V 이상으로 높였다. 연구팀은 배터리 내에 리튬 플루오라이드(LiF) 기반 고체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물 분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해 배터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도 성공했다. 그 결과 ... ...
신맛, 쓴맛 억제하는 신경세포 간 전기장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뇌 신경세포에 분포하는 이온통로다. 연구팀은 나아가 초파리 미각기관에서 감각모
전위
같은 미세환경 없이 신경세포 사이에서도 전기적 억제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초파리 미각기관을 보편적인 전기연접 억제 모델로 활용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연구를 이끈 강경진 ... ...
수소 이온 이용해 배터리 양극재 성능·수명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표준 수소 전극과 환원이 일어나는 반쪽 전지를 결합시켜 만든 전지에서 측정한
전위
를 의미한다. 연구팀은 재료 기초분석을 통해 금속 산화물 내부에 수소 이온이 있으면 금속 산화물의 구조적·전기화학적 특성이 조절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해 수소화-몰리브데넘 산화물을 ... ...
국민 82% 의대 증원 '찬성'…의료계 "서남의대 교훈 삼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않으면 ‘서남대 의대 폐교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전의교협과
전위
비는 2018년 2월 폐교된 서남대 의대의 가장 큰 피해자는 서남대 의대 입학생들이라며 ”(서남대 의대 사태를) 계기로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 인증을 통과하지 못하는 의대는 폐교 조치될 수 있는 ... ...
일상 움직임으로 웨어러블 기기 충전하는 에너지 수확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연구팀은 “이러한 종합적인 상호작용이 에너지 차이를 발생시킨다"며 "이는 전해질 간
전위
차이를 설명하는 중요한 원리를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이 시스템을 여러 개 직렬로 연결하면 출력 전압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실제 이 시스템은 계산기를 작동시킬 수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대폭 향상…20.4%→24.0%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다이폴 층은 소자 내 에너지의 준위를 조절해 전하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고 계면의
전위
차를 형성해 소자 성능을 향상하는 역할을 하는 얇은 물질 층이다. 이번 연구의 핵심 성과는 하이브리드 소자의 전력 변환 효율(PCE)을 기존 20.4%에서 24.0%로 대폭 높인 것이다. 극한의 습도 조건에서도 80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틈인 시냅스로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합니다. 신경전달물질은 뉴런의 수용체에 결합해 막
전위
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활동
전위
(전기 신호)가 생성됩니다. 이 전기 신호가 뇌의 여러 뉴런에 전달돼 포만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그 결과 식욕이 억제됩니다. 배고픔과 포만감을 느끼는 ... ...
투명 햅틱 디스플레이로 가상현실에 촉감 입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더 나아가 특정 촉감을 실제로 구현하고자 촉각을 표준화할 수 있는 체성감각 유발
전위
검사를 진행했다. 손이나 발에 자극이 가해졌을 때 활성화된 체성감각에 의해 뇌의 감각피질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확인했다. 검사 결과 전기 촉각의 전류 밀도와 진동수가 변화할 때 사용자의 뇌 ... ...
입자물리학의 70년 '요새' 최대 가치는 '다양성과 존중'
과학동아
l
2024.08.10
전자볼트라는 에너지 단위를 쓴다. 1전자볼트는 전자가 진공에서 1볼트의 정전기
전위
로 가속될 때 얻는 에너지다. 테라전자볼트(TeV)는 1조 전자볼트)(TeV)에 달하는 충돌이 만들어진다. 그러면 충돌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입자들이 쏟아져나온다. 그중에 연구자들이 찾으려 하는 혹은 아직 찾지 ... ...
코로나19 '빠른 증식' 이유 찾았다…약물 재창출 가능성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활발해진다. 또 미토콘드리아 상호 융합 형태는 미토콘드리아의 표면적을 늘리고 막
전위
를 높게 유지하도록 만들어 ATP 생산 효율을 늘린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복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은 것이다. 연구팀은 세포 성장신호에 중요한 EGFR 단백질의 변형 또한 코로나19 바이러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