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봉
이동
선두
위치를 바꾸기
라인맨
모래주머니
선구
뉴스
"
전위
"(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젖은 손에 있는 이온, 감전을 부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8.16
물 속 음이온은 전기장의 +극 방향, 양이온은 -극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물과 손 사이의
전위
차에 의해 손에 묻은 이온뿐만 아니라 체액 속 이온들도 함께 움직이게 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교류 전기는 +극과 -극이 초당 수십 번 바뀌기 때문에 이온들은 방향을 바꾸며 앞뒤로 움직입니다. 이렇게 ... ...
착용하면 망막 검사 끝…OLED 콘택트렌즈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126니트(nit)의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 조건에서도 기존 상용 장비와 동등한 수준의 망막
전위
도 신호를 확보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기존에 사용되는 장비와 같은 수준으로 망막의 전기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기존 무기발광다이오드(LED) 기반 스마트 ... ...
충방전 1000회에도 멀쩡한 물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줄이고 물 분자 간 수소 결합 네트워크를 깨뜨리는 방식으로 배터리를 만들어 배터리의
전위
창을 1.23V에서 3.1V 이상으로 높였다. 연구팀은 배터리 내에 리튬 플루오라이드(LiF) 기반 고체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물 분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해 배터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도 성공했다. 그 결과 ... ...
신맛, 쓴맛 억제하는 신경세포 간 전기장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뇌 신경세포에 분포하는 이온통로다. 연구팀은 나아가 초파리 미각기관에서 감각모
전위
같은 미세환경 없이 신경세포 사이에서도 전기적 억제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초파리 미각기관을 보편적인 전기연접 억제 모델로 활용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연구를 이끈 강경진 ... ...
수소 이온 이용해 배터리 양극재 성능·수명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표준 수소 전극과 환원이 일어나는 반쪽 전지를 결합시켜 만든 전지에서 측정한
전위
를 의미한다. 연구팀은 재료 기초분석을 통해 금속 산화물 내부에 수소 이온이 있으면 금속 산화물의 구조적·전기화학적 특성이 조절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해 수소화-몰리브데넘 산화물을 ... ...
국민 82% 의대 증원 '찬성'…의료계 "서남의대 교훈 삼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않으면 ‘서남대 의대 폐교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전의교협과
전위
비는 2018년 2월 폐교된 서남대 의대의 가장 큰 피해자는 서남대 의대 입학생들이라며 ”(서남대 의대 사태를) 계기로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 인증을 통과하지 못하는 의대는 폐교 조치될 수 있는 ... ...
일상 움직임으로 웨어러블 기기 충전하는 에너지 수확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연구팀은 “이러한 종합적인 상호작용이 에너지 차이를 발생시킨다"며 "이는 전해질 간
전위
차이를 설명하는 중요한 원리를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이 시스템을 여러 개 직렬로 연결하면 출력 전압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실제 이 시스템은 계산기를 작동시킬 수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대폭 향상…20.4%→24.0%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다이폴 층은 소자 내 에너지의 준위를 조절해 전하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고 계면의
전위
차를 형성해 소자 성능을 향상하는 역할을 하는 얇은 물질 층이다. 이번 연구의 핵심 성과는 하이브리드 소자의 전력 변환 효율(PCE)을 기존 20.4%에서 24.0%로 대폭 높인 것이다. 극한의 습도 조건에서도 80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틈인 시냅스로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합니다. 신경전달물질은 뉴런의 수용체에 결합해 막
전위
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활동
전위
(전기 신호)가 생성됩니다. 이 전기 신호가 뇌의 여러 뉴런에 전달돼 포만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그 결과 식욕이 억제됩니다. 배고픔과 포만감을 느끼는 ... ...
투명 햅틱 디스플레이로 가상현실에 촉감 입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더 나아가 특정 촉감을 실제로 구현하고자 촉각을 표준화할 수 있는 체성감각 유발
전위
검사를 진행했다. 손이나 발에 자극이 가해졌을 때 활성화된 체성감각에 의해 뇌의 감각피질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확인했다. 검사 결과 전기 촉각의 전류 밀도와 진동수가 변화할 때 사용자의 뇌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