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칼리지"(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12
- 일벌과 일개미가 자매를 돕는 이유는? 흔히 이들 사이에서는 자식보다 자매가 유전적으로 더 가깝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해밀턴의 ‘단수이배성 가설’이다. 이 가설은 포괄 적합도 이론의 응용일 뿐인데, 이를 포괄 적합도 이론 자체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만일 여러분이 해밀턴의 논문을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11
- ‘주점 토크’는 실제로 있었나1976년 봄으로 시간을 빨리 넘겨보자. 해밀턴은 임페리얼 칼리지에서 전임강사로 있었다. 한 해 전, 하버드대의 곤충학자 에드워드 윌슨이 낸 대작 ‘사회생물학: 새로운 종합’은 미국 사회 전반에 엄청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해밀턴은 책상에 앉아서 그 당시 나온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11
- 영국 윈체스터 사립학교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의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했는데, 입학한 지 2년 만에 케임브리지대 우등 졸업 인증 시험에서 수학 부문 4등을 했다.하디는 수학계에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특히 많은 수학자를 미치게 한 리만 가설에서도 중요한 사실을 ... ...
- [과학뉴스] 대마초 피우면 돈 벌 의지 사라져과학동아 l201610
- 일을 해서 돈을 벌겠다는 의지를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일반인 17명을 두 팀으로 나눠 한 팀은 진짜 대마초를 피우게 하고, 다른 팀은 가짜를 피우게 했다. 그리고는 각 팀에게 ‘노력이 많이 들지만 고액의 보상이 따르는 일(스페이스 바 21초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10
- ‘유전자 끼리끼리’를 핵심으로 하는 유전적 근연도 이론을 확립한 윌리엄 해밀턴은 드디어 연구 성과를 집대성해 학술지에 발표했다. 그런데 얼마 안 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자신의 이론이 다른 사람에 의해, 탐탁치 않은 이름이 붙은 채 소개되고 있었다!지난 시간에 우리는 유전적 근연도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09
- 이번 화에서는 협력의 공식을 유도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유전적 근연도’를 다룬다. 그 동안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었다면,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이해해보자.대학교 4학년 때였다. 필자는 사회생물학을 연구하는 최재천 교수님 실험실에 소속돼 있었다. 구내식당에서 한 후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08
- 설명해 줬다. 그 핵심을 불쌍한 수컷 칠면조의 사례와 함께 알아보자.1963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동물학과 건물. 존 메이나드 스미스 교수가 연구실에 앉아 ‘이론 생물학 저널(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에 투고된 원고 한 편을 심사하고 있었다. 수식도 많고 내용도 생소해서 이 원고의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08
- 영국에서 일자리를 얻는 게 더 쉬워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영국의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에서 3학년을 보내고 있는 이상민 씨는 “영국에서 일을 하려면 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5년 비자를 위해 영국 정부에내야 하는 돈이 약 1500파운드(브렉시트 전 환율 기준으로 약 255만 원)”라며 ... ...
- [과학뉴스] 이타심까지 예측하는 ‘행복 방정식’과학동아 l201607
- 행복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생각은 누구나 쉽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런데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이것을 실험으로 증명하는 동시에, 개개인의 이타심까지 예측할 수 있는 방정식을 개발했다.연구팀은 47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간단한 도박 게임을 하게 했다. 그리고 게임을 하는 동안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07
- 지난 화에서 우리는, 자연 선택이 각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사회적 행동을 하는 개체는 자신의 자식 수(직접 적합도)뿐만 아니라, ‘그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이 있는 수용자의 자식 수에 끼친 영향의 일부분(간접 적합도)’도 신경을 쓰게끔 행동한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