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의"(으)로 총 1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화와 현대 화학을 넘나드는 12수학동아 l201112
- 다른 해의 간지도 알아낼 수 있다. 간지를 이미 알고 있는 특정 해와, 간지를 알고자 하는 해의 연도 차이를 12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 십이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알고자 하는 해 - 십이지를 이미 알고 있는 특정 해) = 12 ×(몫) +(나머지) 예를 들어 2011년의 간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우선, 2011년은 ...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수학동아 l201112
- 고도가 하지에는 71.3°, 동지에는 24.4°다. 자오선 위에 쓴 숫자 24는 남중고도이고, 45는 해의 남중고도에 따른 탄젠트 값이었다.탄젠트를 이용한 달력 만들기 자오선의 숫자는 θ = 90°-(남중고도)일때, tanθ의 값에 100을 곱해 정수로 만든 값이다.① 1년 중 해가 가장 높이 뜨는 하지일 때 100×tan(90°-71. ... ...
- 그림과 놀이로 배우는 도형수학동아 l201111
- “와~! 박사님. 신기한 작품이에요. 그림자에 걸어가는 사람이 보여요.”“그렇지? 일본의 예술가 쿠미 야마시타의 작품이란다. 그림자를 이용해 재밌는 작 ... 24절기를 가로선에 그어 표시했고, 가로선에 수직인 세로선에 시각을 나타냈다. 해의 그림자를 활용한 조상의 지혜가 돋보인다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06
- 답을 낼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올해는 이 문제처럼 해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해의 개수를 물어 부정방정식의 해를 일반화시킬 수 있어야만 정답을 낼 수 있다. 앞으로 몇 개의 수를 대입하는 요행으로는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예측이 가능하다. 다소 쉬워진 조합중학교 수학은 주로 대수와 ...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수학동아 l201106
- 여러개가 될 수 있다. 한 곡을 똑같이 불렀는데도 팀마다 합격자 수가 다른 이유는 해의 조건 때문이기도 하다. 심사위원이 ‘정수인 해’ 를 요구한다면 어떤 연립방정식에는 해가 존재하지만 다른 연립방정식은 해가 없을 수도 있다.신입 아나운서를 선발하는 ‘신입사원’ 에도 그룹 오디션과 ... ...
- Part 5. 포스터로 보는 수학의 활약수학동아 l201104
- 0년을 수학의 해로 정했다. 수학의 발전과 수학의 시각화, 21세기의 거대한 도전을 수학의 해의 주제로 삼았다. 이에 미국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의 유럽은 학술 모임, 강연, 전시 등 다양한 수학의 해 행사를 열었다. 수학의 시각화라는 주제답게 1999년 유럽수학연합은 수학 포스터 만들기 ...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과학동아 l201103
- ] [귀신 들린 바다 핀란드와 스웨덴 사이 알랜드 제도 주위에 떠 있는 얼음 조각이 발틱 해의 짙은 바다색을 배경으로 청록색을 띠고 소용돌이치고 있다. 바닷물이 얼어 해빙이 돼 가는 초기 단계에는 수많은 얼음 결정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물 위에 기름을 띄워 놓은 것 같은 모습을 만든다. 여기에 ... ...
- '한국의 필즈상'올해 수상자는?수학동아 l201012
-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특히 노 박사는 볼츠만방정식에서 초기값이 작지 않은 경우 해의 존재 여부를 밝힐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이날 대한수학회는 공로상과 학술상, 논문상 수상자도 발표했습니다. 공로상은 서강대 수학과 홍성사,정순영 교수, 학술상은 고등과학원 ... ...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수학동아 l201011
- 똑같은 무게의 금상 6개를 제단 위에 올리면 하늘이 열리고 산신령이 나타나 한 해의 풍요를 약속하지요.그런데 올해 제사에서 산신령이 노하는 사건이 생기고 말았어요. 여섯 장군이 자신의 금상을 제단에올리는 순간이었습니다. 우르르 쾅쾅 천둥소리와 함께 번쩍이는 불번개가 제단 위에 내리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10
- 수 있었다. 하지만 지오의 관심을 끈 산학 책은 따로 있었다. 우주의 모습과 별자리, 달과 해의 움직임을 들려주는 책들이었다. 그런 산학 책 속엔 첨성대와 석굴암, 다보탑 등의 설계도도 그려져 있었다. 그들의 크기나 배치, 비례 관계 등도 셈법으로 자세하게 계산되어 있었다. 산학 책을 보노라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