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김
감태
d라이브러리
"
해의
"(으)로 총 150건 검색되었습니다.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11
RNA 간섭 기술을 식물에 적용해 경제성이 높은 작물의 재배기간을 단축하거나 병충
해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최근 생명공학연구자들은 다른 이유 때문에 RNA 간섭 기술에 열광한다. RNA 간섭 기술을 유전자 검정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11
이 중 여름과학축제는 대화하는 과학의 가장 큰 행사다. 개최지는 매년 바뀌는데 그
해의
주제에 가장 적합한 곳을 선정한다.대화하는 과학이 문을 연 2000년은 ‘물리의 해’ 로 본에서 여름과학축제가 열렸다. 본은 독일 정부가 유럽 및 독일의 과학기술 중심도시로 추진 중인 곳이며 4명의 노벨상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01
하루가 24시간이지만 조선시대 시계에는 하루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
해의
12시로 나눠져 있다. 각 시의 전반부는 초, 후반부는 정으로 2등분했다. 예를 들어 자시는 지금의 밤 11시-새벽 1시에 해당하며 이를 다시 자초와 자정으로 나눈 것이다. 또한 하루를 1백각으로도 나눴다.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01
노릇이었으므로 한 나라씩 차례로 바뀌다가 1918년에 러시아가 마지막으로 1월 1일을 새
해의
출발점으로 정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08
주연산자인 ‘교차’(자세한 내용은 7월호 연재 참조)는 문제공간에서 떨어져 있는 두
해의
특성을 부분 결합해 새로운 해를 만들어낸다. 이는 봉우리 주변에 있는 두 해가 결합해 봉우리로 올라가도록 돕기도 하지만, 기존의 해가 몇몇 봉우리 주변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즉 교차에 의해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08
그림1). 이런 편견은 노예 무역이 성행하면서 더욱 고착됐다(그림2).사실상 카리브
해의
외딴 섬에 기착한 콜럼버스를 비롯한 스페인 정복자들은 그 지역 원주민들로부터 이웃 부족, 즉 카리브족이 식인 풍습을 갖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런 이야기는 낯선 오지에서 쉽게 믿음으로 변했고, 이런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04
그
해의
획기적인 과학 업적을 발표해온 세계적 과학전문지 ‘사이언스’는 2002년의 ‘10대 하이라이트’를 선정, 지난해 12월 20일자 지면에 소개했다. 발표 결과, 최고의 성과는 의외의 후보에게 돌아갔다. 분자 연구에 있어 그동안 DNA에 가려 과소 평가돼온 RNA연구가 영예의 1위를 차지한 것이다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01
백신 개발의 가능성으로 크게 평가받았다. 또한 다양한 수용체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올
해의
업적으로 선정됐다. 피부에 존재하는 ‘TRP 이온 통로’가 칼슘 등의 이온 농도 변화를 통해 외부 온도를 인체로 전달한다는 사실과 눈 망막에 존재하는 일군의 수용체가 주변의 밝기에 따라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01
모여 성공CASP는 과학자들에게 답이 알려지지 않는 문제를 제시한다. 대회가 개최되는
해의
3-4월에 구조가 밝혀지지 않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인터넷(predictioncenter.llnl.gov)에 공개한다. 즉 아미노산이라는 블록이 한줄의 실로 연결돼 있는 상태로 문제가 제시되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한줄로 ... ...
한치의 오차 없는 우편 배달 시스템
과학동아
l
200212
찾아야 하고 계속해서 들러야하는 도시의 수를 늘려간다. 하지만 최적화 분야에서는
해의
근사치만 구해도 현실에서 충분히 의미를 가질 수 있고, 또한 경로의 수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렇게 많지 않다.쉽게 말해 시스템 최적화 분야에서는 외판원 순회 문제가 해결 불가능하지는 않다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