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김
감태
d라이브러리
"
해의
"(으)로 총 150건 검색되었습니다.
적도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03
크지 않다. 한달 뒤 정오
해의
고도는 더 높아야 하므로 문제(2)의 정답은 B다. 정오
해의
고도는 계속 높아져 추분이 되면 천정(머리 위)으로 오게 된다.그리고 해가 수직으로 뜨기 때문에 문제(3)의 정답은 B다. 구체적인 예로, 적도 지방에서 촬영된 동물 다큐멘터리 영화에 잡힌 해넘이 광경을 ... ...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02
우리나라의 경우가 아니면 더욱 그렇다. 2월호에서는 지구의 양극 지방에서 일어나는
해의
겉보기운동에 관해 알아보자.★ 북위 89도인 지역에서 어제 정오 해가 아래 그림처럼 커다란 빙산 위에 떠 있었다. 문제 1-3의 정답에 가장 가까운 그림을 보기에서 고르고 문제 4에 간단히 답해보자.(1) 어제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과학동아
l
200102
모습은 마치 사막이 퍼져나가는 것처럼 보이니까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네요. 저는 부
해의
실체를 정확하게 모르겠어요. 포자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걸로 봐서 곰팡이 종류가 아닐까 생각되는데….성환_ 부해라는 이름은 포자에서 나오는 유독성 가스가 바다처럼 보여서 붙여진 거잖아요. 부해가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01
동물이다.12간지의 여섯번째지구상에 살고 있는 무수히 많은 동물 중에서 사람이 태어난
해의
띠를 결정짓는 여섯번째 동물로 뱀이 선택된 것은 뱀이 인간에게 멀리 느껴지는 동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동양에서는 예전부터 뱀을 지혜를 가진 영물로 생각했다. 추운 겨울에는 땅속에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01
지금으로부터 1천7백여년 전 동양에도 피타고라스정리에 해당하는 구고술이라 불리는 수학원리가 있었다. 또한 동양수학고전에는 수학문제를 ... h : l₁ = (x-h) : y, h : l₂ = (x-h) : (y+d)라는 비례식이 성립한다. 이 두식을 y에 대해 정리하면
해의
고도x = $\frac{hd}{{l}_{2}-{l}_{1}}$ + h를 ...
나눗셈으로만 해결하기 어려운 달력 개정
과학동아
l
200009
12개월에 첨가된 제13월을 솔(Sol)이라 부르고 6월(June)과 7월(July) 사이에 위치시킨다. 각
해의
마지막 날, 즉 13월 29일은 공일로 정한다. 그리고 윤년에는 또 다른 공일이 필요한데, 이 경우에는 6월 29일을 만들고 공일로 정한다. 국제 고정력에서 부활절은 언제나 4월 8일로 고정된다.국제 고정력은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09
신라와 발해가 전쟁을 벌였다는 기록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다. 다만 733년 발
해의
무왕이 당의 떵조우(登州)를 해군을 동원하여 침공했는데, 이에 대한 보복을 하려는 당의 요청으로 그 해 겨울 신라가 당나라를 도와서 발해를 치려 했던 때가 있었다. 그러나 눈이 한길 남짓이나 와서 병사들만 ... ...
지구 온난화가 설사병 증가의 원인?
과학동아
l
200003
이때 설사병 치료를 위해 매일 병원에 온 어린이 환자수는 엘니뇨가 발생하지 않은
해의
2배에 달했다.연구를 주도한 윌리엄 체클리 박사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이번 연구는 지구 온난화가 설사병을 일으키는 병균이 더욱 기승을 부리도록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
과학동아
l
200003
명장 다이달로스는 날개를 가진 사람이 너무 높이 날아 올라가면 날개를 붙인 납이
해의
열로 녹아 버린다고 말했을 정도로 고대인들은 천체를 가까운 거리에 있다고 생각한 모양이다. 해와 달이 불과 수km 정도 높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당시 사람들에게는 아리스타르코스의 계산 결과는 큰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2
달의 지형을 살펴보자.달의 아름다움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다.이 달은 음력으로 한
해의
시작인 설날과 첫 만월인 정월 대보름이 있다. 달맞이를 하며 소원을 비는 설레임이 있는 달이다. 달은 매일 약 50분씩 늦게 떠오르면서 매일 밤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예전에는 달 속에서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