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의"(으)로 총 1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과학동아 l200001
- 우리의 하루는 24시이지만, 옛 사람들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의 12시로 썼다. 그러나 태양이 하루 한바퀴를 도는 것이 예나 지금이나 변함 없듯이 하루의 길이는 똑 같다. 옛날의 한 시간은 오늘날의 2시간이다. 자시는 밤 12시, 축시는 새벽 2시이므로 2시간 간격이 된다. 사주를 ...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과학동아 l200001
- 바꾸어 동남쪽으로 움직이며 동지가 될 때 다시 방향을 바꾼다. 매년 똑같이 반복되는 해의 움직임을 보고 고대인은 아마 대자연의 법칙을 발견한 희열을 느꼈을 것이다. 그리고 하지나 동지 때 해 뜨는 곳에 스톤헨지와 같이 거석을 세워 그 지점을 표시해 두었을 것이다. 차고 기우는 달가끔씩 달 ... ...
- 억겁과 천재일우의 의미과학동아 l199908
- 등으로 부르는 것도 여기서 비롯됐다. 회갑과 환갑은 1갑자(60년)가 지나 자신이 태어난 해의 간지가 다시 돌아왔다는 의미다. 동방삭이 살았다는 삼천갑자는 그러므로 1만8천년이라고 할 수 있다.그러나 동방삭은 실존인물이라 1만8천년이라면 아직도 죽지 않고 살아있다는 뜻인데, 이것은 너무 ... ...
- 2. 사주와 주역과학동아 l199902
- 기묘(己卯)년이라 한다. 60갑자의 기산점을 어디로 잡느냐는 역술가마다 다를 수 있지만 해의 이름에서만은 거의 통일이 돼 있고 옛날부터 셈해온 것을 이어서 쓰면 되므로 거의 착오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월, 일, 시는 중국력과 우리나라 역이 차이가 생겨 몇번의 혼란이 생기기도 했다. 지금은 ... ...
- 미국, 이론 물리학의 중심이 되다과학동아 l199812
- 중요한 역할을 한 다이슨(Freeman Dyson, 1923-)은 노벨 상 수상에서 제외됐는데, 이 때문에 그 해의 노벨상 위원회에 보내진 과학자들의 시선은 그리 반 갑지 못했다.걸음마 수준의 미국물리학수상자들도 깨닫지 못할 만큼 같은 문제에 대한 세 사람의 접근법과 수학 방법은 서로 달랐다. 다이슨은 이 세 ...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과학동아 l199812
- 일만 남았군요." 첫눈은 과연 무엇이길래 우리는 그토록 아름다운 의미를 부여할까. 해의 첫눈이란 늘 고난하고 후회스런 지난 시간을 덮어버리고 다시 하얀 시작을 알린다. 첫눈, 첫만남, 첫사랑... 처음이란 늘 가슴이 시린 추억과 생기를 만는 것이다.강아지 세상첫눈이 오면 사랑의 소원을 비는 일 ...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과학동아 l199809
- 보는 것이 많다. 예를 들어 꿀벌은 해가 구름에 가려도 자외선을 감지하기 때문에 해의 위치를 쉽게 알아낸다. 또 나비도 꽃에서 반사된 자외선은 잘 본다. 특히 꿀샘은 자외선을 잘 반사해 나비나 벌들이 꿀샘을 쉽게 찾을 수 있다.만약 사람이 가시광선 이외의 광선을 보게된다면 우리가 보는 ... ...
- ④ 고대에도 태양관측 있었다과학동아 l199807
- 다양한 현상을 기록한 것으로 보아 철저한 육안 관측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해의 광구 면에서 흑점이나 행성을 찾아내는 것은 기상조건 때문에 햇빛이 약할 때가 아니면 대낮에는 육안으로는 할 수 없다. 때문에 주로 해뜰녘이나 해질녘에 관측해 이상현상을 발견했을 것이다.맨눈으로 ... ...
- 2. 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과학동아 l199801
- 정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음력달과 계절은 현격한 차이가 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느 해의 음력 2월 초에 있었던 춘분날이 약 10년이 지나면 6월로 옮겨지고, 34년 정도 지나면 다시 2월로 되돌아 온다. 여름의 달인 음력 7월은 겨울이 되기도 하고 봄이 되기도 한다.계절의 변화와 음력 달의 명칭이 ... ...
- 달력의 과학과학동아 l199801
- 자연변화의 규칙성을 측정해 시간을 기록했다. 해의 변화에 맞춘 시간, 달의 변화에 맞춘 시간, 강물의 범람에 맞춘 시간, 곡식의 성장에 맞춘 시간 등. 그리고 인간은 60초, 60분, 24시간, 일주일, 일순(10일)등 자연의 시간을 쪼개어 인간의 시간을 만들었다. 자연의 시간과 인간의 시간이 만들어내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