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자외선 보는 눈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눈에 있었다. 너새니얼 도미니 미국 다트머스대 생명과학 및 인류학과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
연구팀은 순록 안구의 휘판(tapetum lucidum) 색이 변하는 덕에 눈 속에서 지의류를 잘 찾아 먹을 수 있게 됐다는 연구 결과를 2023년 12월 15일 국제학술지 ‘아이-퍼셉션’에 발표했다. doi: 10.1177/20416695231218520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깊이의 3배에 달합니다. 수제트 팀머만 스위스 베른대 지질학과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
연구팀은 2023년 10월 1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초심층 다이아몬드가 지구 진화 정보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86-023-06662-9 연구팀은 브라질과 기니에서 채취한 ... ...
[과학뉴스] 어린 티라노사우루스의 숨겨진 생존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대한 연구가 2023년 12월 8일 발표됐습니다. 일본 쓰쿠바대학교와 캐나다 캘거리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2018년 캐나다 앨버타주립공룡공원에서 발견한 7530만 년 전 화석 ‘고르고사우루스 리브라투스(Gorgosaurus libratus)’를 분석했어요. 고르고사우루스는 티라노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공룡입니다. 화석 속 ... ...
호우, 더 강해진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해요. 2023년 11월 24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김형준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은 최근 호우가 더 강해진 이유가 인간 활동에 의한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호우는 예전부터 여름철이면 종종 나타나던 현상이에요. 하지만 지난 60년간 동아시아를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큐레이터와 달라 젤레니츠키 캐나다 캘거리대 지구에너지환경학과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팀은 위 속에 식사 내용물이 남은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의 화석 표본을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di0505 고르고사우루스는 약 7500만 년 전인 중생대 ... ...
[과학뉴스] 뱃속에서 덜덜덜! 포만감 올려주는 캡슐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스리니바산 미국 하버드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조반니 트라베르소 MIT 기계공학과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한 알만 먹어도 음식 섭취량을 40%나 줄일 수 있는 알약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해당 연구는 2023년 12월 22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소개됐다. doi: 10.1126/sciadv.adj3003 비만은 날이 갈수록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NCBE)의 객관식 시험에서 하위 10%의 성적으로 불합격했다. 그로부터 몇 달 후에
공동
연구팀은 미국 스탠퍼드대 법률정보센터 등과 협력해 기존 챗GPT(GPT-3.5)보다 진화한 GPT-4로 다시 미국 변호사시험에 응시했다. 이때는 놀랍게도 상위 10%의 성적으로 합격선에 가뿐히 들었다. GPT-4의 성적은 같은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등 전문서적에서도 꾸준히 언급돼 왔습니다. 2021년에는 서울대, 건국대 등
공동
연구팀이 새끼 비글 10마리의 코를 매달 촬영한 결과, 생후 2개월이 되면 코 패턴이 완성되고 이후 변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애니멀스’에 발표했습니다. doi: 10.3390/ani11092664 연구팀은 “개의 비문이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힘들고 외로운 길이거든요. 수학은 추상적인 대상일지 몰라도, 수학을 이루는 것은 이
공동
체에 있는 수많은 사람의 이야기라고 생각해요. 인문학자 : 이번 연재를 통해서 수학에 질문을 던진 지 1년이 돼 가니 교수님이 인문학자가 다 됐네요. 아주 여운이 남는 수학의 의미였습니다. 오늘 이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발표됐다. doi: 10.1038/s41586-023-06669-2 미국 스탠퍼드대와 영국 사우스햄프턴대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이 박쥐 불가사리(Patiria miniata)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다. 불가사리의 머리를 찾을 때의 문제점은, 몸의 구조가 척추동물과 전혀 달라 머리가 어느 부위인지 정의하기조차 힘들다는 것이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