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살지. 미유기는 보통 4~5월에 알을 낳는다고 알려졌어. 5월 22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외 공동 연구팀은 수온에 따른 알의 부화 과정을 비교 분석해 미유기 알이 부화하기 가장 적합한 온도를 알아냈어. Q. 어떤 온도가 가장 적합해?A. 연구팀은 2018년 6월 경상북도 영천시 자호천 일대에서 미유기 1 ... ...
- [가상인터뷰] 길고양이와의 공존을 위한 해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잘 관리해 줘야 해. Q. 수술 말고 다른 방법은 없을까?A. 6월 6일, 미국 신시내티동물원 외 공동 연구팀은 수술 없이도 암컷 고양이의 생식력을 떨어뜨리는 유전자 치료 주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항뮬러호르몬의 효능에 주목했어. 항뮬러호르몬은 쥐 실험을 통해 난자로 자라는 세포인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것이 최선인가를 두고 논쟁도 벌어진다. 미국 퍼듀대와 국립해양대기청(NOAA) 등 공동연구팀은 인공위성 발사가 급증하고 위성과 로켓의 재진입이 늘어남에 따라 지구 대기에 리튬, 알루미늄, 구리, 납 등 우주선 선체에서 사용되는 금속 비율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 9월 PNAS에 발표했다. doi: 1 ...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IBS 지하실험 연구단도 태양중성미자를 좀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를 설치할 공동(空洞)을 예미랩에 마련했다. 또한 몰리브데넘(Mo)의 동위원소인 몰리브데넘-100으로 구성된 결정을 이용해 두 개의 전자가 방출되고 중성미자는 방출되지 않는 ‘중성미자 없는 이중베타붕괴’ 관측 ... ...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뒀다는 것도 이 책의 매력이다.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이들과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앙리 베크렐은 물론, 자연 방사능 원소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인공 방사선 X선을 발견한 빌헬름 뢴트겐(190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까지, 책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노벨상 수상자들이 실험 물리학자인 ... ...
- [가상인터뷰] 4억6000만년전 삼엽충은 뭐 먹고 살았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여러 추측만 있어 왔다. 9월 27일, 페트르 크래프트 체코 프라하 카렐대 연구원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삼엽충의 마지막 식사가 보존된 화석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6567-7 이 연구를 가상인터뷰로 재구성했다. Q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려요.저희 삼엽충은 ...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한다고 추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최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교가 이끄는 유럽 대학 공동연구팀이 총 35만 757번의 동전 던지기를 시행했다. 실험 참가자 48명이 46가지 종류의 동전을 던진 이번 연구는 역대 동전 던지기 실험 중 동전을 가장 많이 던졌다. 이번 논문의 제 1저자인 암스테르담대 ... ...
- [과학뉴스] 관측 사상 가장 큰 화성 지진, 그 원인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원인은 무엇일까. 벤자민 페르난도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학과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S1222a 화진의 원인이 ‘화성이 냉각돼 응축되면서 나온 에너지’에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10월 17일 국제학술지 ‘지오피지컬 리서치 레터스’에 실렸다. doi: 10.1029/2023GL103619 지진은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노력의 결실이다. doi: 10.1038/s41586-023-05896-x 국제 인간 범유전체 참조 지도 컨소시엄(HPRC) 공동 연구팀은 다양한 유전적 배경을 가진 47명의 유전체를 분석해 ‘참조 범유전체’를 만들었다. 그만큼 다양한 유전적 변이를 참조 범유전체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세계 각국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설립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박현우라고 합니다. 정승호: (현우가) 유일한 기계공학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공동 대표를 맡고 있어요. 윤수연: 저는 세 친구들보다는 늦게 합류했어요. 로켓 제작 전반에 아이디어를 보태고 있는 윤수연 엔지니어입니다. 기자: 팀의 밸런스가 좋은데요! 텀블벅에 올려 둔 프로젝트 설명을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