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토"(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위상수학 학회를 기점으로 오타 히로시 일본 나고야대학교 교수와 오노 카오루 일본 교토대학교 교수가 합류했다, 우리 네 사람은 러시아 수학자 미하일 그로모프가 만든 유사정칙 곡선과 후카야 범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고, 각각의 대학으로 흩어졌다. 일본에 있던 그들과 미국 한복판에 있던 ... ...
- [chapter1] 왜 퓨처 모빌리티인가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방안을 수정하기 시작했다. 2015년 프랑스 파리에 196개국 대표가 모여 2020년 종료되는 교토의정서의 뒤를 이을 새 감축 이행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파리협정이었다. 당시 한국은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를 감축하겠다고 약속했다. 미국은 2025년까지 2005년 대비 26~28% 감축, 유럽연합(EU)은 ... ...
- [SF 소설] 당신의 신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끼리릭끼리릭 움직여야 할 아이가 끼릭끼릭끼릭 움직이는 소리를 내는 것이다. 동시에 교토 천문대 직원이 내가 대상 초점을 제대로 안 맞춘 것 같다며 우리 천문대에만 개인 메시지를 보냈다. 그제야 정신을 차렸다. 그때 나는 모니터에 업데이트된 신호를 봤다. 그 신호는 처음 보는 모양이었다. ... ...
- [이달의 수학자] 위대한 업적, 그리고 위대한 선생님 히로나카 헤이스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헤이스케’를 널리 알립니다.1931년 4월 9일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난 히로나카는 일본 교토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습니다. 이 시기에 슬럼프를 겪던 히로나카가 소녀를 만난 것입니다. 소녀를 만나고 마음을 다잡은 뒤, 히로나카는 미국 하버드대학교로 유학길에 올라 박사학위를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 연구실에서 2017년 발표한 논문이 데이터 변조 의혹을 받고, 교토대 연구공정조사위원회에 의해 사실로 드러난 바 있다. 이 논문은 2018년 철회됐다. 부당한 저자 표시연구가 시작되기 전에 실험이나 논문 작성 등 각자 할 일을 분배하고 저자권(authorship)을 먼저 합의하는 것이 ... ...
- 기후위기의 마지노선, 심해가 끓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않도록 전 세계가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파리협정은 2016년부터 효력이 발생했고 교토의정서가 만료된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된다. 한국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로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하지만 전 세계 각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구의 ... ...
- [신 기후체제] 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것과 더불어, 이미 변화가 시작된 기후에 적응하려는 움직임도 포함된다는 점이 이전의 교토의정서와 다르다. 기후변화 적응은 지역별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한 뒤 민감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이후 적응력을 평가해 대책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이 가운데 모니터링과 예측 과정에 ... ...
- [에디터 노트] 공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필요합니다. 1997년에 채택돼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전세계 기후변화 대책의 골격을 이룬 교토의정서는 이런 면에서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기후변화의 책임을 일부 선진국의 과거 산업화 행위에 집중적으로 돌리고, 이에 따라 기후변화 대책의 실행 주체를 이들 국가로 한정했습니다. 달성 목표도 ... ...
- [신 기후체제]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파리협정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시간적·공간적으로 확대한 것으로 견고하고 지속가능한 체제로 평가되고 있다. 먼저 교토의정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과거의 역사적 책임을 강조하며 선진국에게만 온실가스를 감축하도록 했지만, 파리협정은 과거뿐 아니라 현재와 미래 세대가 책임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기후체제를 시간적으로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제안하셨죠. 마침 저는 박쥐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었어요. 지도 교수님이셨던 일본 교토대학교 영장류연구소 데이비드 힐 교수님이 박쥐를 연구하셨거든요. 덕분에 옆에서 박쥐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익숙했던 터라, 흔쾌히 제안을 받아들였죠. 현재는 관박쥐의 짝짓기 습성에 대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