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토"(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는 이유다. 기쿠치 다카유키 교수와 다카하시 준 교수 등 일본 교토대 연구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240만 개의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의 전구세포를 만들었고,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로 50대 파킨슨병 환자의 뇌 12개 부위에 이식했다. 현재까지 환자에게서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경도(교토) 3인방’으로 불린 이태규(화학), 이승기(화학공학), 박철재(물리학)는 모두 교토제국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모교에 자리를 잡은 조선의 자랑이었다. 이화학연구소에서 비타민E에 관한 선구적 연구로 명성을 얻은 도쿄제국대학 출신의 김양하는 노벨 과학상 후보로 추천해야 한다고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가능할까아내의 복제품을 만들기 위해 적용된 인공배양 기술은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가 2006년 8월 개발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기술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유도만능줄기세포란 체세포를 적절한 물질(전사인자)과 함께 넣어 분화 능력이 있는 줄기세포로 되돌리는 것을 ... ...
- 노벨 생리의학상, 암 정복의 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방법을 개발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어요. 미국 텍사스대학교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일본 교토대학교 혼조 다스쿠 명예교수가 공동으로 수상했지요. 두 사람은 암 치료의 새로운 단계를 연 공로를 인정받았답니다. 우리 몸은 외부에서 바이러스가 침입하는 등 이상 상황이 생기면 면역 체계를 ... ...
- [과학뉴스] 전세계 과학인의 축제, 2018 노벨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물리학상, 화학상 분야의 수상자가 차례로 발표되었지요. 노벨 생리의학상에는 일본 교토대학교 혼조 다스쿠 명예교수와 미국 텍사스대학교 앤더슨 암센터의 제임스 앨리슨 교수가 수상자로 정해졌어요. 두 과학자는 면역세포의 기능을 높여서 암세포를 제거하도록 돕는 기술을 연구했어요.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 제주도에서 만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자유롭게 헤엄치고 있는 돌고래를 본 적 있나요? 영화에서나 봤던 이 멋진 풍경을 제주도에서도 볼 수 있어요. 제돌이로 잘 알려진 ‘남방큰돌고래’가 제주도 바다에 살고 있거든요.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의 김미연 연구원과 함께 제주도에서 돌고래의 하루를 관찰해 보았답니다. “저기 제돌이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다시 줄어들고 결국 사라집니다. 그 수명 주기는 30~60년으로 알려져 있어요. 일본 교토 신사 | 에도 시대에 일본인들은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고 나서 나무판에 그 내용을 적어서 절이나 신사에 공물로 바쳤습니다. 이것을 ‘산가쿠’라고 하는데 아직도 일본 곳곳에 있는 신사에 가면 수학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항체 면역 항암제가 됐다. PD-1 항체, 카터 전 대통령 뇌종양 완치로 유명 1992년 일본 교토대에서 T세포를 연구하던 혼조 교수는 ‘PD-1’이라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그는 이후 PD-1이 CTLA-4와 비슷하게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면역 억제 단백질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동물 실험을 통해 PD-1의 억제를 ...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아니고 지그재그 모양으로 튜링 패턴이 나타납니다. 그 비밀은 2009년 타카시 미우라 일본 교토대 해부학과 교수팀이 튜링 모형을 이용해 밝혔습니다. 손가락 생성의 비밀손가락이 생기는 과정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손은 처음부터 완성된 다섯 개의 손가락으로 나뉘어 있지 않고 하나의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본은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꾸준히 배출하고 있다. 특히 올해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의대 명예교수가 생리의학상을 받으면서 올해까지 일본에서는 1949년 첫 수상 이후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23명(수상 당시 미국 국적 2명 포함) 탄생했다. 특히 2000년대 약진이 두드러진다. 2002년에는 물리학상과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