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지상에 발을 디디고 살아가는 인류는 세상에서 벌어지는 변화를 자신이 관찰한 것들을 기준으로 분석했으니까요. 대부분 인간은 태어날 때 갖고 있던 성별을 죽을 때까지 유지하고요. 다시 산호 이야기를 해보죠. 수백 년 전까지만 해도 산호는 식물로 분류됐습니다. 지상의 나무처럼 생겼다는 게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참과 거짓의 과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검증 결과 피해자가 최선을 다해 전한 진실은 법정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 18가지 기준으로 참과 거짓을 가린다 진술분석기법은 피해자의 피해 사실을 증명할 뿐 아니라, 무고한 피의자의 억울함을 밝히기 위해서도 활용된다. 윤여훈 진술분석관은 새아버지에게 성적 학대를 당했다고 주장한 ... ...
- 우주에서도 문제 없다!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마련하기 어려울뿐더러 에너지 문제와도 연결됩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데이터센터가 지구 전체 전력 소모의 1%를 차지했다고 발표했어요. 데이터가 늘어나면 이 비율도 점점 증가하지요. 최 교수는 “데이터센터에 있는 저장 장치는 늘 전원이 연결된 상태로, 정보가 ... ...
- 최고의 투수결정하는 4가지 지표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하지만 이 지표가 투수의 능력을 오롯이 평가하지는 못한다. 그 이유는 자책점을 구하는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투수의 자책점은 기록원의 판단으로 매겨지기 때문에 충분히 야수가 잡아 아웃시킬 수 있었던 공이 안타가 되어 타점을 올려도 투수의 자책점으로 기록되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 ...
- 전술의 신 3. 삼각형 패스 대형 짜기 생성나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를 ‘델로네 삼각형’이라고 한다. 대형으로 따지면, 선수를 나타내는 점이 기준점이고, 맡을 구역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패스 경로가 델로네 삼각형의 변이다. 아래 그림은 FC 바르셀로나의 대형을 이용해 그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인데, 실선은 델로네 삼각형의 일부이다. 점선은 선수들의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4일째 오후 10시 이후에 관측한 거리와 같을 거예요. 날짜별 기록을 오후 10시 1분을 기준으로 정리해 나열하면 100, 93, 86, 72, 51, 16, -40이 돼요. 3일째까지만 보면, 토끼 행성과 지구와의 거리는 100 - 7(n - 1) = 107 - 7n(n = 1, 2, 3)으로, 등차수열을 따른다고 볼 수 있어요. 초항이 ...
- [에디터 노트] 도파민도 인스턴트 시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분은 갸웃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저는 지금 정규분포 중앙에 모인 평범한 ‘우리’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는 겁니다^^) 독서뿐만이 아닙니다. 건강한 음식, 공부… 몸과 마음에 이로운 것들은 대체로 중독이 잘 안 됩니다. 반면 소셜 미디어나 마라탕은 나도 모르게 중독돼 끊기가 어렵죠. ‘도파민 ...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세밀히 나타나 있다. 책 ‘코스미그래픽’의 저자 마이클 벤슨은 이 그림을 두고 “당시 기준에서만이 아니라 이후 1세기가 더 지날 때까지 태양 흑점을 묘사한 가장 세밀한 작품”이라고 평한다.인간이 그린 흑점, 인간이 만든 슈퍼컴퓨터가 그린 흑점을 비교해 살펴보자. 130년 사이 기술의 발전과,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전제 조건도 잊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명제가 아니라면 그 진위를 정확히 판단하는 기준이 없어 보편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리인지 알 수 없으므로 수학에서는 할 일이 많지 않습니다. 수학이 왜 이런 연구를 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수학이 어떤 학문인지 설명하다 보니 말이 길었습니다. 다시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1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dg3005 가능한 후보를 추리는 기준공전 주기 먼 우주에 있는 천체의 정체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직접 찾아갈 수 없는 인간이 고안한 방법은 천체가 뿜어낸 신호를 관측하는 것이다. 먼 우주에서 벌어진 큰 사건의 흔적인 중력파를 관측할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