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024년 1월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팜데일에서 바늘처럼 뾰족하게 생긴 비행기 한 대가 공개됐다. 비행기의 이름은 X-59,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조용한 초음속 기술(QueSST ... 항상마하1이초속 340m인 것은 아니다. 본문에 소개된 기체의 속도는 기체를 개발한 기업의 소개 자료를 기준으로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전제 조건도 잊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명제가 아니라면 그 진위를 정확히 판단하는 기준이 없어 보편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리인지 알 수 없으므로 수학에서는 할 일이 많지 않습니다. 수학이 왜 이런 연구를 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수학이 어떤 학문인지 설명하다 보니 말이 길었습니다. 다시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깊숙이 내려올수록 이런 입자들이 토양에 걸러진다. 소 책임기술원은 “10cm×10cm 면적을 기준으로 검출기를 지나가는 뮤온 입자가 지상에선 하루에 8만 6400개지만, 예미랩에서는 고작 2개로 약 4만 분의 1 비율로 줄어든다”고 차이를 설명했다. 예미랩에서는 암흑물질 연구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나날이 방대해지고 있다. 최근 발견된 메르센 소수 하나를 검증하는 데 컴퓨터 한 대를 기준으로 평균 1~3년이 걸린다. 또한 새롭게 발견된 메르센 소수와 직전에 발견한 수와의 간격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앞으로 메르센 소수를 발견하는 데 소요시간은 더 길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컴퓨터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동물보호센터가 구조한 반려동물은 11만 3440마리에 이릅니다. 반려동물 등록률은 반려견 기준 2021년 53.4%에 그칩니다. 그동안 반려동물 등록에는 두 가지 방식이 채택돼 왔습니다. 목걸이로 인식칩을 거는 ‘외장형’과 몸속에 마이크로칩을 넣는 ‘내장형’입니다. 내장형은 반려동물의 몸속에 ...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경우는 음악이라거나 경제 같은 단어다. 어렴풋한 생각은 맴돌지만 음악과 소리의 기준이 무엇인지, 재화나 용역을 어떻게 해야 경제로 이어지는지 조리 있게 말하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다. 그렇다면 물질은 어떨까? 우리가 물질이란 단어를 편하게 쓰는 만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정의는 뭘까. ... ...
- 업사이클드푸드 왜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식품 부산물을 업사이클하면, 농장에서 버려져 낭비되는 식량을 줄일 수 있지요. 2021년 기준 우리나라는 전체 식량 중 40.5%를 직접 생산하고 있어요. 이러한 수치를 식량 자급률이라고 합니다. 식품 부산물을 업사이클하면 식량 자급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식량 자급률을 높여 해외에서 수입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네로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정도 지속됩니다. 주로 12살 이하 어린이가 흔하게 걸릴 수 있는 질병이지요. 2023년 11월 기준 우리나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환자의 80%가 12살 이하 어린이였습니다. 보통의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마이코플라스마 페렴균은 세균이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게 방해하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를 사용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우리가 직접 생산하는 식량도 감소하고 있지요.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은 44.4%, 곡물자급률은 20.9%에 불과합니다. 식량 자급률은 한 국가에서 소비하는 식량 중 그 나라 안에서 직접 생산하는 식량의 비중을 뜻해요. 곡물자급률은 그중 사료용 곡물을 포함한 ... ...
- DVD 복제는 안 돼! 불법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연구했다. 이날 울람은 잠을 쫓기 위해 격자 칸에 수를 적기 시작했다. 가운데 칸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나선을 그리며 수를 적었는데, 신기하게도 소수가 대각선에 몰려 있었다. 이렇게 나타난 소수들을 ‘울람 나선’ 또는 ‘소수 나선’이라고 한다. 놀랍게도 대각선에 위치한 소수는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