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실제 실험 결과를 비교해,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정확하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혹등고래의 지느러미는 더 큰 받음각에서도 양력계수의 변동이 크지 않습니다. 최대 양력의 크기는 돌기 없는 지느러미보다 다소 적었지만, 돌기 없는 지느러미가 양력을 일으키기 어려운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강인한 정신력으로 독일과 러시아를 오가며 연구를 이어갔다. 이때도 매주 한 편씩 논문을 작성했다고 전해진다. 오일러가 수학에 공헌한 내용은 다양한데, 현대에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을 만든 것이 대표적이다. 자연로그를 정의하는 상수 e를 만들었고,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를 푼 ...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폴리매스 8번 문제다. 여러 명의 지식이 더해지자 연구에 가속도가 붙었다. 장 교수의 논문이 발표되고 3달 만에 소수의 간격이 7000만에서 4680까지 줄어드는 성과가 났다. 짧은 기간 동안 모든 걸 불태운 탓인지 이후 3개월 동안 진척이 없었다. 그러던 11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갓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써서 공부한 내용을 라그랑주에게 적어 보냈다. 이 내용에 큰 감명을 받은 라그랑주는 논문 저자를 직접 만나보기로 했다. 라그랑주는 제르맹의 집으로 찾아가 만난 뒤 그가 여성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고 이후 멘토가 돼 줬다. 훗날 제르맹은 주위 사람들이 여성 수학자라고 비웃는 게 두려워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매우 길다. 1963년에 리드 롤러라는 학자가 컴퓨터를 이용한 재판 예측 기법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이 분야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재판 예측 연구에는 그동안 다양한 방법과 기술이 동원됐다. 그중 의미 있는 성과는 2004년에 앤드류 마틴 등이 개발한 미국 연방대법원 재판 예측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DOI가 뭔가요? “왜 적혀있는 건가요?” 2023년 11월, 전독위 3기 송승민 독자(닉네임 소스)가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 올린 질문입니다. ... 공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기사의 내용을 좀 더 깊게 알고 싶다면, DOI를 검색해 논문을 찾는 것도 좋은 과학동아 활용법이 되겠습니다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리만 가설이 이렇게까지 쉽게 풀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먼저 그만큼 리만의 논문을 이해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연구가 여러 수학 분야에 걸쳐 있다. 수를 연구하는 정수론은 물론 대수 기하, 복소함수론 등을 알아야 해 난제가 쉽게 풀리긴 어려울 전망이다. 리만 ... ...
- [가상 인터뷰] 중세 바이킹, 현대인처럼 충치 치료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연구팀이 우리 무덤 수천 개를 발견하면서 오랜만에 다시 바깥 공기를 맡게 됐어요.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현재까지 총 300기의 무덤을 분석했다고 하네요. 충치가 있으시다고요?네. 하지만 저만 있는 건 아녜요! 연구팀은 무덤에서 발굴한 시신 중 전체 혹은 부분 치열이 남아 있는 171명 가운데,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눈부시다. 이 선임연구원은 구글 딥마인드와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이 2024년 1월 4일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공개한 ‘모바일 알로하(Mobile ALOHA)’의 영상을 꼭 보길 권했다. doi: 10.48550/arXiv.2401.02117 영상 속 모바일 알로하는 인간의 작업 방식을 모방하는 ‘이미테이션 러닝’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복잡한 사회생활을 하고, 주된 의사소통 수단으로 ‘소리’를 사용하는 동물들입니다. 논문에 따르면, 자주 등장하는 특정 음성 신호의 발생 빈도를 함수화한 결과는 반비례 함수였습니다. 해당 반비례 함수에 로그를 취하자, 직선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죠. 이 그래프의 기울기를 ‘지프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