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체"(으)로 총 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가지고 있다. 공공은 결정 구조에서 원자나 이온이 빠져 비어버린 자리를 의미한다. 반도체에서 무작위로 발생하는 공공은 결함의 주요 원인이지만, 멤리스터는 이를 역으로 이용했다. 두 개의 전하를 가진 산소 음이온(O2-)이 하나 사라지면, 재료는 전기적으로 양성을 띠게 된다. 전기적으로 중성을 ... ...
- [Issue] 카(Car)더라의 진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특히 공기와 마찰이 많은 부분, 플라스틱이나 유리 같은 부도체로 만들어진 부분은 대전이 많이 돼 공기 중의 양이온과 충돌합니다.차량의 직진 안전성을 떨어뜨리죠. 그 부위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붙이면 차의 대전현상이 일부 상쇄돼 주행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n형 금속산화막전계효과트랜지스터(T-pMOS, T-nMOS)를 함께 집적한 것이 3진 금속산화막반도체다. 보통의 경우보다 많은 도핑으로 인해 T-pMOS와 T-nMOS 소자에는 게이트 전압에 따라 조절되는 채널 전류(붉은색 화살표)와 관계없이 일정한 터널링 전류(검은색 화살표)가 흐른다. 이를 이용하면 T-nMOS에 채널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향후 위상-응집-양자계산을 아우르는 분야에 대한 노벨상 수상도 점쳐볼 만하다. 위상 부도체와 양자계산 이론을 주도한 인물들의 나이가 이제 겨우 50대 중반임을 고려할 때, 이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거라고 예측하는 건 매우 안전한 도박이다. 그날이 정말 온다면, 노벨상 위원회가 과연 K-이론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어요. 액체라서 온도에 따라 대류 현상을 일으키면서 회전하지요.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가 회전을 하면 자기장이 만들어져요. 이렇게 외핵이 만든 자기장 때문에 지구가 자석의 성질을 갖는 거예요.지구는 북쪽은 S극, 남쪽은 N극을 띠고 있어요. 그래서 자석으로 만든 나침반으로 방향을 찾을 수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로 ‘맴돌이 전류’!“구리나 철처럼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 옆에서 자석이 움직이면 도체에 전류가 흘러요. 이 전기를 ‘맴돌이 전류’라고 한답니다. 구리관에 자석을 떨어뜨린 순간, 구리관에 생겨난 맴돌이 전류가 자석의 움직임을 방해한 거지요. 아래로 떨어지던 자이로드롭을 멈추게 하는 ... ...
- 도체 (導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거예요.금속이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전자가 이동하게 돕는 길 역할을 하는 만큼 도체의 ‘도’는 ‘인도할 도(導)’로 쓰게 된 것이지요.한편 ‘체’는 물질을 뜻하는 한자예요. 몸이라는 뜻으로도 해석이 되는 이 단어는 ‘뼈 골(骨)’과 ‘풍성할 례(豊)’로 이뤄졌어요. 여러 가지를 갖추고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받았다. 그의 이름을 따 이 현상을 조셉슨 효과라고 부르며, 두 초전도체 사이에 부도체가 낀 구조는 조셉슨 접합이라고 한다.직류와 교류가 모두 있는 외부 전류를 흘려주면서 전위차의 평균()을 구해보면 흥미로운 결과가 나온다. 평균이 2e/ħω(ħ=2π/h)의 정수배가 되는 부분마다 그래프에 평평한 ... ...
- [친절한 우아씨의 똑똑한 데이트 11] 사랑은 도파민으로부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자이로드롭은 맴돌이전류를 브레이크로 이용합니다. N극과 S극을 가진 영구자석이 도체인 금속 옆을 지나갈 때,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해 금속 안에 소용돌이 모양의 전류(맴돌이전류)가 생깁니다. 이때 맴돌이전류의 자기장과 영구자석의 자기장이 서로 밀어내면서 자석의 이동을 방해합니다. 즉,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옛날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미세한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반도체의 성능도 정확하게 맞추고 불량률도 낮출수 있어요. 수익률에서 큰 차이를 낳지요.”더구나 미래에는 전자 하나를 이용한 전자소자가 개발될 것이다. 양자컴퓨터나 양자정보통신 기술 말이다. 이른바 양자공학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