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체"(으)로 총 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반도체와 부도체를 차례로 쌓은 구조에서 초전도현상이 발견되기도 해요. LED 같은 반도체 소자 대부분도 이종구조로 이뤄져 있어요. 그만큼 2차원물질 이종구조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답니다.예전의 전 자신감이 없었어요. 단순하고 밋밋한 제 모습과는 달리, 뭔가 있어보이는 3차원이나 4차원 같은 ...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바퀴 돌아야 전기가 생긴다. 이때 전자를 움직이게 하는 힘도 에너지 준위의 차이다. 반도체의 전도밴드는 태양전지에서 가장 높은 산에 비유할 수 있다. 자유전자는 가장 높은 산에서 회로의 그 다음으로 높은 산으로 움직이며 한 바퀴 돈 뒤 원래 있던 가전자밴드로 돌아오게 된다(73페이지 ②참고).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연구가 매우 활발하며, 돌파구도 보이고 있다. 5파트 참조). 반면 스텔러레이터는 외부 도체에 전류를 흘리게 되므로 전류를 매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장시간 유지하기도 훨씬 쉽다. 스텔러레이터의 단점은 구조가 복잡하다 보니 건설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또 스텔러레이터에서는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크기가 작아지면서 새로이 나타나는 효과를 양자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체의 크기가 아주 작아지면 옴의 법칙(V=IR)이 성립하지 않는다. 전압에 따라 전류가 불연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불연속은 양자역학의 트레이드마크다!). 또 강한 자기장에 놓인 전자의 전기전도도는 외부 ... ...
- 양자역학 없는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화면의 정보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메모리에 저장해야한다. 메모리는 축전기라 불리는 도체다. 여기에 전자가 들어있으면 1, 없으면 0이다. 이렇게 전자를 축전기에 넣거나 뺄 때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4GB의 메모리라는 말은 40억 개의 트랜지스터와 축전기가 있다는 뜻이다. DNA까지 양자역학이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발견했다. 그리고 10월에는 독일 마틴루터대 볼프 빌드라 연구진이 부도체, 반도체, 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금속 준결정 산화물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최근 태양전지용 대체 소재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한편, 우리나라의 연세대 준결정재료연구단 김도향 ... ...
- 내가 그래핀보다 낫다고요~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원하는 모양으로 균일하게 만들 수 있고, 넓고 크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더군다나 반도체라는 점을 이용해 태양전지, 휘는 디스플레이, 투명 전자소자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최희철 그룹리더는 “차세대 나노 재료를 원하는 대로 만드는 방법을 처음 개발했다”며 “이번 성과가 또 ... ...
- [가상 인터뷰] 번개 앞에 정말 위험한 물건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홀로 서 있어서 몸이 마치 피뢰침 같은 역할을 한 게지. 사람 몸도 전기가 통하는 ‘도체’거든.뭐라고? 번개 칠 때 아예 밖에 나가면 안 되겠네!지구 정복을 꿈꾼다더니 뭐 이리 겁이 많누. 한국전기연구원이 만든 ‘낙뢰 안전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대기가 불안정하고 낙뢰가 잘 발생할 수 있는 ... ...
- 촉촉하면 도체, 마르면 절연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학교와 가정에서 교육용으로 다양하게 쓰는 컬러점토는 점토의 한 종류인데 전기적으로 도체에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다. 물론 도선에 비해 저항은 크다. 컬러점토에는 어떻게 전류가 흐를 수 있을까? 비밀은 바로 컬러점토를 만드는 과정에 있다. 컬러점토를 만들 때 반죽에 쓰는 액체가 바로 ...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전자재료 수업을 받으면서 벤 스트리트먼의 ‘고체전자공학’이란 책을 접했다. 도체, 반도체 및 절연체 재료의 기본적인 전기적 특성과 소자물리에 대한 내용을 배우면서 필자는 재료공학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실제 재료공학의 가장 큰 장점은 필자의 손으로 직접 다양한 형태의 소자를 만들고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