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있다. 특히 로봇은 AI의 껍데기(인터페이스)로 기능하며, AI를 가상공간이 아닌 세상 밖으로 돌아다니게 할 수 있다. 로봇윤리가 지켜지지 않는다면 인간의 존엄성, 행복 등 기본 권리는 물론 심신의 안전까지 침해받을 수 있다. 현재 세계는 로봇윤리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아시모프의 로봇3원칙은 ... ...
- [특집] 용왕님이 한 턱 쏜다! 해양문화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곳이지. 인간 세상에 2024년청룡의 해가 밝았다는 소식을 듣고 오랜만에 용궁 밖을 나섰더니 토끼와 거북이 서 있었어. 난파선을 되찾으러 왔다더군!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용왕님이 한 턱 쏜다! 해양문화재Part1. 고려시대 선박, 잠에서 깨다!Part2. 넓디넓은 바다 속 보물, 어떻게 ... ...
- 모든 수의 근원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동심원 위에 시계 방향으로 나열하면 이 같은 그림이 나타난다. 숫자 24개마다 한 줄 밖의 원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돼 있고, 소수는 흰색 원 안에 표기했다. 그러자 소수는 2와 3을 제외하고는 특정 선 위에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하지만 여기까지. 각 직선을 보면 전혀 규칙성이 보이지 ... ...
-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울음소리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매미는 전 세계에 3000종이 넘는데, 아직 어떤 과학자도 종마다 알에서 태어난 유충이 밖으로 나와 성충이 될 때까지 몇 년이 걸렸는지 관찰한 기록이 없다는 것이다. 많은 매미 전문가가 대략 3~6년 주기로 매미가 나타난다고 짐작할 뿐이다. 그런데 북아메리카에는 일일이 관찰하지 않아도 1주기를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이 자세 따라하면 똥이 나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힘이 들어가면서 항문이 살짝 풀려 변을 좀 더 수월하게 볼 수 있다”고 말했어요. 그밖에도 쾌변에 도움이 되는 다른 비법들을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2023년 11월, 현대 물리학 이론으론 설명할 수 없는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포착됐어요. 우주선은 우주에서 지구로 날아오는 입자를 말해요. 이번에 ...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떠오른 가장 큰 이유는 썩는다는 점 때문이다. 하지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따질 땐 그 밖에 생산, 이용, 처리까지 전 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이런 분석을 전과정평가(LCA〮Life Cycle Assessment)라 한다. 제품의 원료 채취부터 가공, 수송, 사용, 폐기 등 모든 과정에 걸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평가하는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수련이나 단련이 아니”라고 말하는 작가는 “아무리 연구 환경이 좋더라도 힘들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예비 고학력 독자들은 그의 작품을 보고 결심을 한다. “작품을 보고 대학원 진학을 마음 먹었다”는 댓글이 눈에 띈다. 작품을 통해 연구자가 된다는 것이 얼마나 ...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금속보다 오히려 안정적으로 전파를 주고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밖에 폐기하기 용이하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일본 연구팀이 지속 가능한 우주개발의 대안으로 나무 위성을 제안한 이유다. 박 연구사는 “목재는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단 4개의 원소로 이뤄져 있다”며 ...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걸 입증해야 한다. 어떻게 할 수 있을까. 타액, 피, 질액, 정액 등 체액은 몸 밖으로 배출되면 그때부턴 미생물의 먹이다. 따라서 시체에 꼬이는 벌레의 수와 종류 등으로 시체 유기 장소를 특정하는 법곤충학과 비슷한 원리로 미생물의 종류와 수를 이용해 체액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대검찰청 ... ...
- 원두 맛 끌어올리는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압 등의 요인을 따져 추출 효율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그러자 예상 밖의 결과가 나왔다.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곱게 갈린 원두 가루가 커피 원액을 거르는 필터를 막아 버렸다. 실제로 효율이 낮아 원두 낭비가 컸다. 이후 수천 번이 넘는 추출 실험과 계산 끝에 연구팀은 추출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