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망원경 분해능을 얻도록 설계됐고 2021년 건설이 시작됐다. SKA mid는 2029년 완공을 목표로 본격적인 현장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우주 속 시계가 될1000개의 펄사 2030년 완성될 SKA는 우리은하 내 약 1만 개 이상의 모든 펄사와, 그중 정확한 시계 역할을 할 수 있는 1000개 이상의 밀리초 펄사를 관측할 ... ...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일어난 일이었을까? 배터리가 다 되어가는 휴대폰을 들고 정우를 찾으러 다닐 때 아리가 본 올림픽 공원은 그녀 생에 가장 아름다운 장소였다. 밤은 손에 감각이 없어질 만큼 추웠지만 추운 밤이어도 빛으로 가득했고, 그 밤 덕분에 아리는 올림픽 공원을 영원히 좋아하게 된다. 물론 몽촌토성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게임을 해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본 연재물을 기획했습니다.) 여러분, 지난 화에서 캐릭터를 개성 있게 꾸며 봤나요? 이제 게임을 직접 해볼 거예요. 우선 게임 설정부터 시작해 볼게요! 내 캐릭터를 잘 움직이려면? 로블록스 게임을 즐기려면 간단한 ... ...
- 전술의 신 5. 승리 비결은 선수들의 노력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그래프로 나타내 에 소개했다. 선수들의 움직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본 로바놉스키 감독은 경기력이 달라지는 이유를 ‘선수들 간의 신뢰’라고 분석했다. 다른 선수를 믿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의 역할에 끼어들어 자신의 역할을 소홀히 하면 유기적인 시스템이 무너져서 경기력이 ... ...
-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듯한 노래였다. 서글프면서도 강렬한 선율 속으로 순식간에 빠져든 미아와 선은 본인들도 모르는 새 숨마저 죽이고 음악에 몰입해 있었다. 곡의 클라이맥스에 다다른 무렵 웬 정체 모를 사람이 무대 위로 뛰어오르는 모습을 보기 전까지는.“선, 이거 무대 연출일까?”“아니, 그냥 누가 난입한 것 ... ...
- [지사탐 인터뷰] 다함께 기록하자! 우리동네 제비꽃 '문현지'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되면 연구실에서 한 해 동안 채집했던 식물의 표본을 정리합니다. 지금도 정리할 표본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어요. Q 산을 오르며 제비꽃의 어떤 점을 관찰하나요?제비꽃은 봄엔 꽃잎이 열려 있는 개방화, 여름부터 가을까진 꽃잎이 없어 눈에 잘 띄지 않는 폐쇄화를 피워요. 폐쇄화는 열매를 만들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주머니에서 녹지 않는 초콜릿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두근두근…. 밸런타인데이를 코앞에 둔 섭섭박사님은 좋아하는 사람에게 줄 특별한 초콜릿을 만들어 보기로 했어요. 따뜻한 실내에서도 녹지 않는 뽀송한 ... 띠는 분자들은 초콜릿 역시 갖고 있기 때문이죠. 기자가 초콜릿을 녹여 오이와 함께 먹어본 결과, 둘은 의외로 잘 어우러졌답니다 ...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인터뷰에서 “스프링 캠프에서 박병호 선수를 2번 타자와 3번 타자로 둘 다 세워본 결과 한 시즌에 2번 타자는 3번 타자로 나올 때보다 40타석 정도 더 설 수 있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보통 2번 타자는 발이 빠른 타자를 쓴다. 1번 타자가 출루하면 안타 또는 희생 번트를 통해 주자를 득점권에 ... ...
- 전술의 신 1. 그래프로 패스를 분석하라!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게재했다. 먼저 그는 선수 11명을 11개의 점으로 보고, 선수들 간의 패스를 선으로 본 뒤 그 관계를 행렬로 나타냈다. 예를 들어 4명의 선수가 그림 ❶과 같이 패스를 주고받았다고 하자. 행렬의 원소인 aij를 i가 j로 패스한 횟수라 한다면, a11은 0, a12는 1, a13은 1, a14는 0이다. 같은 방법으로 행렬의 모든 ... ...
- [통합과학 교과서] 신들에게 전기를 보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부딪히면서 열이 발생하죠. 휴대폰을 충전할 때 충전기의 전선이 따끈따끈해지는 걸 느껴본 적 있을 거예요.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면서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는 거랍니다. 전기를 보낼 때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구리나 알루미늄처럼 저항이 작아 ... ...
이전12345678 다음